공주 ‘남매탑’ 유래
공주 ‘남매탑’ 유래 |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산 3-1번지에는 크고 작은 석탑이 다정하게 서 있다. 동학사에서 북쪽으로 난 가파른 산길을 2km 정도 오르면 넓직한 터에 위치한 이 탑은 청량사지 7층석탑(보물 제1285호)과 청량사지 5층석탑(보물 제1284호)으로, 일명 ‘남매탑’으로 불린다.
석탑 옆에는 ‘상원암’이라는 암자가 자리해 석탑을 관리하고 있다. 암자보다 석탑이 유명한 이 곳에는 한 스님과 여인의 운명적인 ‘만남과 수행’의 드라마틱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평생도반 인연 맺어준 호랑이의 報恩
스님이 목에 걸린 뼈 빼내 救命해 주자 상주 사는 여인을 수행토굴에 물어 와
그는 풀잎으로 듬성듬성하게 토굴을 지어 자그마한 부처님을 모시고 평생 수행자로 살기로 결심했다.
오고 가는 사람 한명 없는 산중에 부처님을 시봉하며 살기로 마음먹으니 그동안 나라를 위해 싸운 일이 한낱 부질없는 물거품이 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니….”
금강경의 가르침을 가슴속에 새기며 새로운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겨울날. 눈이 억수같이 펑펑 쏟아지고 있는데 문 밖에서 짐승의 울음소리가 들렸다.
아마도 큰 동물이 고통스러운 일을 당해 끙끙거리는 소리 같았다. 깊은 산중이라 평소에도 산짐승들이 먹을 것을 찾아 내려오는 터라 스님은 문을 열고 소리가 나는 곳으로 가 보았다.
“아니, 호랑이가 아닌가? 덩치는 산 만한 호랑이가 왜 여기에 와서 저렇게 고통스러워할까?” 스님은 겁이 나면서도 고통스러워 하는 짐승에 대한 측은심이 생겨 조심스럽게 호랑이의 행동을 예의주시해 보았다. 사람을 헤칠 기력이 없음을 확인한 스님은 호랑이 곁으로 다가가 보았다. 그러자 호랑이는 마치 자신의 목구멍에 걸려 있는 무언가를 제거해 달라는 듯 목을 크게 벌렸다. 목에 가로로 걸려 며칠동안 호랑이를 괴롭혔던 것이다.
스님은 호랑이에게 긴 법문을 했다. “호랑이야, 아무리 네가 미물의 축생이라도 해도 네가 헤치는 짐승들의 고통을 헤아려야 한다. 지금 너가 당하는 고통은 너로 인해 죽은 짐승의 고통보다 훨씬 적은 것이다. 그러니 지금부터라도 함부로 살생을 하지 말도록 하여라.” 이런 일이 일어난 지 며칠이 지났다. 대지는 또 하얀 눈으로 휩싸였고 사위는 고요하기만 했다. 스님은 새벽 일찍 일어나 수행하는 토굴을 나와 주변을 산책하고 돌아가는데 호랑이가 토굴 안으로 무언가를 떨어뜨려 놓고 사라졌다. 혼절한 듯한 여인을 토굴 안으로 들인 스님은 물수건을 따뜻하게 데워 머리에 올려 놓으니 여인은 서서히 정신이 돌아왔다.
상세하게 말했다. 제 나이 열여섯이 되어 집안에서는 혼사이야기가 오갔고, 결국 저는 이웃 마을 양반댁으로 시집을 가게 되었습니다.
첫날 밤을 맞은 날 소녀는 소피를 보기 위해 측간을 다녀오기 위해 나왔다가 커다란 불빛을 만나 혼절하고 말았습니다. 그 뒤 눈을 떠 보니 지금 이 자리에 소녀가 있었습니다. 도대체 여기는 어디입니까?” 아마도 호랑이는 그대를 헤치려고 하지는 않은 것 같소. 다만 제가 며칠 전 목에 길다란 뼈가 걸린 호랑이를 구해 주었는데 그 호랑이는 저에게 은혜를 갚으려고 여인을 물어다가 내 토굴에 놓고 간 게 틀림없소. 이제 큰 화를 면했으니 기운을 차려 어서 남편과 가족이 기다리는 곳으로 빨리 가시오.”
‘오누이’ 인연 맺고 함께 수행하다 열반 후대까지 기리기 위해 2기의 석탑 조성 소녀의 집안과 마을에서는 제가 호랑이에게 물려가 죽었을 것일라고 모두들 생각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소녀는 이미 스님의 거처에서 하룻밤을 보내게 되었는데 말입니다.” 그러니 스님께서 소녀를 어여삐 여기시어 아내로 맞아 주시면 평생 지아비로 모시고 살아가겠습니다.” 여색을 멀리하기로 다짐하고 평생 불도(佛道)를 닦기로 한 몸이니 그대의 여인이 될 수가 없소.” 며칠을 고민한 스님은 여인에게 제안을 했다. “그대의 딱한 처지를 이해할 수 있소. 그러니 내가 제안하겠소. 그대와 나는 오늘부터 오누이의 인연을 맺으면 어떻겠소. 물론 그대는 부처님의 제자가 되어야 하오.
그리고 평생 이곳에서 비구와 비구니로 살면서 수행하다가 한날 한시에 열반에 드는게 어떻겠소?” 여인은 스님의 제안에 대 환영의 뜻을 표했다. “감사합니다.
소녀는 비구니가 되어 평생 이곳에서 수행하며 살다가 세상과 하직하고 싶습니다.” 이리하여 여인은 스님과 오누이의 인연을 맺고 출가한 후 비구니의 삶을 살았다.
그러다가 두 사람은 약속한대로 한날한시에 열반에 들었다. 두 스님이 열반에 들자 이들의 아름다운 수행모습을 본 주변 사람들은 두 수행자의 행적을 후대까지 기리고자 2기를 석탑을 조성하고 ‘남매탑’이라고 불렀다. 1) 서울 방면에서 갈 때는 경부고속도로 → 천안논산고속도로 → 정안 IC → 23번국도 → 월송교차로 → 32번국도(대전방향) → 박정자삼거리 → 동학사로 와서 상원암을 찾는다. 2) 부산방면에서 오실 경우는 경부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 유성 IC → 32번국도(공주방향) → 박정자삼거리 → 동학사로 들 어온다. 3) 광주.호남방면에서 오실 경우 호남고속도로 → 유성 IC → 32번국도(공주방향) → 박정자 삼거리 → 동학사로 오면 된다. (042)825-6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