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천만송이 국화꽃 축제에서 미륵사지탑을 국화꽃으로...
마음에 눈을 뜨자
성철스님
마음 밖에는 아무 것도 없다(心外無物) 동시에 마음이 곧 부처다(卽心是佛) 라고도 합니다. 불교는 그 교리 전체가 팔만대장경에 담겨있는 만큼 불교를 알려면 팔만대장경을 다 봐서야 불교를 알터인데 누가 그 많은 팔만대장경을 다 보겠습니까? 그렇다면 누가 불교를 다 알 수 있겠습니까? 가장 간단합니다. 팔만대장경 전체를 똘똘 뭉치면 마음 “심”한 자 위에 서 있습니다. 이 마음 “심” 한 자의 문제만 옳게 해결하면 일체의 불교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일체만법을 다 통찰할 수 있습니다. 그런 동시에 마음을 알게 되면 부처를 알고, 마음이 부처이니까 그래서 삼세제불(三世諸佛) 을 한눈에 다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자초지종(自初至終)이 마음에서 시작해서 마음에서 끝납니다. 그래서 내가 항상 “마음의 눈을 뜨자.” “마음의 눈을 뜨자.”하는 것 아닙니까? 천지개벽 전부터 성불했으나 현재는 말할 것도 없고 미래겁이 다하도록 성불한 그대로 임을 알게 됩니다. 마음의 눈을 뜨면 결국 자성(自性)을 보는데 그것을 견성(見性)이라고 합니다, 관법(觀法)을 한다. 주력(呪力)을 한다. 경(經)을 읽는다. 다라니를 외운다. 등등 온갖 것이 다 있지만 그런 여러가지 방법 가운데 가장 수승한 방법이 참선입니다. 참선하는 이것은 자기 마음을 밝히는 것이기 때문에 불교에서만 참선하는 것이 아니고 딴 종교에서도 참선 많이 합니다. 며칠 전에도 예수교 믿는 사람들 셋이 와서 3,000배 절하고 화두 배워 갔습니다. 그 사람들한테 내가 하는 말이 있습니다. 그렇게 축원하고 절하시오」이렇게 말해주면 참 좋아 합니다. 나쁜 곳으로 가고…) 부처님께서는 항상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다시는 그 책에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완전히 손을 떼어버렸습니다. 결국 그 책은 미완성으로 남았습니다만 그래도 그 책이 하도 훌륭하므로 예수교에서는 그것을 신학교리의 큰 권위로 삼고 있지 않습니까? 그토록 심경 변화된 그 마음자리, 그것을 한번 알아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불교 믿는 사람이 도리어 참선을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불교를 믿는 사람은 너무 무관심 한 것 같습니다. 내가 잘못 보았다면 다행이지만 그래서 딴 종교의 사람을 예로 들어서 말하는 것입니다. 모든 법문이 다 이렇습니다. “정전백수자” (庭前柏樹子)니 “마삼근”(麻三斤) 이니 “조주무자”(趙州無字)니 하는 것은 다 부채입니다. 부채 ! 눈에 드러난 것은 부채일 뿐입니다. 부채 본 사람은 신선 본 사람이 아닙니다. 누구든지 신선을 보려면 부채에 가려진 그 얼굴을 봐야지, 빨간 부채를 보고서 신선 보았다고 하면 그 말 믿어서 되겠습니까? 잠이 꽉 들어서도 일여(一如)한 데에서 깨쳐야만 풀 수 있는 것이지 그전에는 못 푼다는 것, 이것이 근본적으로 딱 서야 합니다. 그리하여 마음의 눈을 확실히 뜨면 이것이 견성인 동시에 뜰 앞의 잣나무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일체법을 다 성취하는 것입니다. 마음의 눈을 뜨는 것이 뭐냐 하면 자성을 보는 것인데 견성이란 말입니다. 그러니 공부 부지런히 부지런히 하여 화두를 바로 아는 사람, 마음 눈을 바로 뜬 사람이 있기를 바랍니다. 그냥 “견성하자” “성불하자”하면 너무 불교의 전문적인 것이 되어 일반 민중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또 사실도 그렇고. 그래서 “마음의 눈을 뜨자”하는 말을 많이 합니다. |
'깨침과 영혼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민스님의 좋은 말씀 (0) | 2012.09.06 |
---|---|
유마거사의 말씀 (0) | 2012.09.06 |
경주 남산/ 김원룡 (0) | 2012.09.05 |
화두를 든다는 것은 (0) | 2012.09.05 |
가장 바람직한 얼굴 -- 청화스님 (0) | 201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