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濟州 4·3 事件)또는 제주 4·3 항쟁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북청년단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남한의 단독선거 · 단독정부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 유혈사태를 말한다. 제주 4·3 사건은 8·15광복 이후 남한에서의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5·10 총선을 방해하기 위해 시작되었는데, 정확히 말하면 이 사건의 배경에는 제주도내 남로당지부의 활동, 미군정의 친일파 등용과 서북청년단 같은 극우단체들의 폭력과 횡포에 대한 제주도 주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