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건강

나의 건강 체크하기 =2

백련암 2009. 9. 11. 23:06

당뇨병이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이 우리 몸에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

혈액 속의 혈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않고 쌓여서 고혈당 증상을 나태내는 질한이다.

당뇨병에 걸리면 혈액에는 포도당이 많으나 신체가 이를 이용하지 못해 여러가지

합병증이 나타난다.

 

당뇨병보다 더 무서운 당뇨병의 합병증

당뇨병은 시간이 지날수록 모세 혈관에서 큰 혈관의 혈관 벽, 혈액 성분, 혈류 등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각종 합병증을 유발 한다.

당뇨병 환자의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은 동맥경화성 관상동맥 질환이며,

당뇨병 환자의 70 ~ 80% 가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한다.

당뇨 합병증 중에서도 고혈압에 따른 심혈관 질환은 생명과 직결되므로

결코 쉽게 보아서는 안된다.

당뇨병 환다는 협심증이 있어도 통증을 잘 못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증세가 없어도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좋다.

심전도 검사만으로는 심장의 합병증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운동부하 심전도, 심장 초음파, 동위원소를 이용한 심근관류 검사 등과 같은

정밀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 

고혈당증과 심혈관 질환을 함께 관리하는 것이 성공적인 진단과 치료에 이르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 당뇨병 위험 인자 자가 진단

다음중 하나라도 체크하신 분들은 정기적으로 당뇨병 검사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기 체크 리스트*

1) 45세 이상이다 (모든사람이 반드시 검사를 받고 정상이면 최소 3년 마다 재검사)

2) 비만이다. BMI>23(제일 중요함) BMI(체질량)계산법 = 몸무게(kg)÷키(㎡)

    예) 키 160㎝, 몸무게 70kg  70kg ÷ (1.6) = 체질량(BMI)이 27이 된다

3) 습관적 운동부족이다. 가족중에 당뇨환자가 있다.

4)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거나 4kg 이상 거대아를 분만한 적이 있다.

5) 혈압이  140/90 이상이거나 고혈압 치료 중이다.

6) 고밀도(HDL)콜레스테롤 이하이거나 중성지방이 250 이상이다.

7) 이전 혈당 검사에서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 라고 진단받은 적이 있다*.

8) 이전에 심혈관 질환이 있다고 진단 받은 적이 있다.

9) 이뇨제 베타 차단제, 스테로이드, 갑상선호르몬 등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

10)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있다.

 

* 공복혈당장애란  공복 시 혈당 100 ~ 125mg/dL

* 내 당능장애란    공복 후 75g의 포도당을 섭취하고 2시간 후에 혈당이 140 ~ 199mg/dL

* 공복혈당장애, 내당능장애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가 있는 사람은 

                                                비록 당뇨병은 아니지만 당뇨병으로 진행할 위험성이 높다.

                                                약 40%가 5년 뒤에 당뇨로 진행되고,

                                                심혈관 질환의 실제 위험 인자가 된다.

이와 같은당뇨병 전기의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혈당 검사를 하고, 단 음식과 간식을 피하며

균형 잡힌 식생활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 규칙적인 운동을 해 당뇨를 예방해야 한다. 

 

    * 참고 사항 *

 ★ 혈당 조절 목표

공복 혈당  10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미만 

취침 전 혈당  100 ~ 140mg/dL 미만

당화혈색소  6.5%

 

★ 혈압조졸  130/80  미만

엄격한 혈압조절은 모든 심혈관계 질환이나 미세혈관 합병증 발병률을 24 ~ 56% 정도를

줄여 준다

 ★ 콜레스테롤 조절 목표

총 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

중성 지방  150mg/dL 미만

좋은 콜레스테롤  40mg/dL(남자), 50mg/dL(여자)이상

나쁜 콜레스테롤  100mg/dL 미만

 

*전형적 증상  다음, 다뇨, 체중감소 가 있으면서 무작위 혈당이 200mg/dL 이상이다.

*최소한 8시간 공복 후 혈당이 126mg/dL 이상이다.

*공복 후 75g 의 포도당을 섭취하고 2시간 후에 혈당이 200mg/dL 이상이다.

 

 & 혈관 나이 자가 측정표 = 자기 혈관 나이를 측정해 보세

* 평가항목*                        *     0점      *                *     1점     *            *     2점    *   

1. 수축기 혈압                      120mmHg 이하              121~139mmHg 이하             140mmHg 이하

2. 나이                                     40세 미만                      40~55세                            55세 이상

3. 흡연 경험                             없다                              한 적 있다                         하고 있다

4. 당뇨병 유무                          없다                                                                      있다

5.총 콜레스테롤                         240mg/dL 미만            240mg/dL 이상

6. 고밀도(HDL) 콜레스테롤         45mg/dl 이상                 45mg/dl 미만

7. 허리 둘레(남 90, 여 80)               미만                             이상

8. 스트레스                                거의 없다                     어느정도 있다                   심하다

9. 과거 심장 질환 유무                  없다                                                                  있다

10. 심장 질환 가족력 유무             없다                              있다

 

= 결과 =

1) 0~1 점  20대 현재의 젊고 건강한 혈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세요.

2) 2~4 점 30대 아직은 안심할 단계이지만 방심하지 마세요.

3) 4~5 점 40대 발병 위험이 있으니 현재의 생할 습관을 체크해보세요.

4) 6~7 점 50대 발병 위험이 높으니 가까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5) 8점 이상  60대 발병 위험이 매우 높으니 예방 차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아보세요 

 

고혈압이란?

심장이 수축하면 혈압은 최고로 높아진다. 이것이 "최고 혈압(수축기 혈압)" 이다.

그리고 심장이 수축을 끝내고 이완하면 혈압이 내려가는데 , 이를 "최저 혈압(이완기 혈압)"

이라고 한자

혈압을 나타낼 때는  최고 혈압과 최저 혈압을 함께 표시하는데,

정상범위의 혈압은 140/90 미만이고

이상적인 혈압은 120/80 미만이다.  고혈압 환자는  최고 * 최저 혈압이 함께 높아지는데,

최고 혈압의 수치가 더 중요하다.

 

분류                                     수축기 혈압(mmHg)                           이완기 혈압(mmHg

정상                                      120 미만                                            80 미만

고혈압 전 단계                       120~ 139                                            80~ 89

1단계 고혈압                          140~ 159                                            90~ 99

2단계 고혈압                          160 이상                                            100 이상

-------------------------------------------------------------------------------

*고혈압 증상

고혈압은 성인에게 나타나는 아주 흔한 병이다.

그러나 80% 정도의 한자는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일부 환자만이

어지럼증이나 호흡 곤란, 두통, 손 저림,을 느낀다.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혈압이 높아지면 합병증이 진행된다.

그것도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등 목숨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합병증을 불러오기 때문에

고혈압은 흔히 "조용한 살인자"라고 불린다.

그러므로 꾸준히 혈압을 측정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관리하는것이 필요하다

심한 고혈압이라도 적절하게 치료해 정상 혈압을 유지하면 합병증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고혈압 자각증상 = 머리가 무겁고 아프거나 어지럽다.  얼굴이 빨개진다, 눈이 충혈된다,

                             코피가 잘 난자, 귀가 울린다, 뒷목이 뻣뻣하다,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고 두근거린다.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

고혈압의 주요 심장 질환 합병증은 심부전, 협심증, 심근경색 등이 있다. 

그중 심혈관 질환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이다

혈압이 높아지면 혈관 벽이 쉽게 손상을 입는데, 이를 통해 콜레스테롤, 지방 등이

스며들어 혈관이 굳고 탄력을 잃는 동맥경화가 나타난다.

그렇게 해서 혈관이 좁아지면 심장근육의 혈액 순환에  이상이 생겨 심장 근육에 흘러드는

혈액량이 줄어들어 갑자기 가슴이 아픈증상, 즉 협심증이 나타난다. 

심하면 심장 혈관이 완전히 막혀 심근경색이 온다.

또 대동맥과 말초 혈관에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혈관이 막히거나 혈관 내벽이 찢어지는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성인병 중 암을 빼면 나머지는 고혈압과 동맥경화에 따른 합병증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 식습관 체크 리스트--- 평소 나의 식습관을 체크해보자

① 아침에 늦게 일어나서 식사를 거르는 날이 많다

② 포만감이 느껴질 때까지 먹는 편이다.

③ 외식이 잦다

④ 늦게 자는 날이 많고, 야식을 즐긴다.

⑤ 채소와 과일을 잘 먹지 않는다.

⑥ 생선보다는 고기가  입에 잘 맞는다.

⑦ 패스트푸드, 가공식품, 과자, 청량음료 등을 자주 먹는다.

⑧ 기름을 사용하여 만든 음식을 즐겨 먹는다                                          

⑨ 젓갈, 장아찌, 등의 짠 음식을 좋아한다.

⑩ 다른 사람보다 달게 먹는 편이다.

⑪ 잡곡밥, 통밀가루보다는 흰쌀밥, 흰 밀가루 음식이 좋다.

⑫ 하루에 물을 4컵() 이내로 마신다.

⑬ 식탁에서 음식에 소금을 넣어 먹는 편이다.

⑭ 식사할 때 국이나 찌개가 빠지지 않는다.

⑮ 먹고 싶은 욕구가 자주 생기는 중독된 음식이 있다.

16) 하루에 카페인이 든 음료(커피, 홍차,등)를 3잔 이상 마신다

 

 7개 이상 ⇒ 청신호 ≫  식습관이 나쁜 편입니다.

                                        올바른 식습관에 대한 교육이 필요 합니다.

                                        가까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

 

 3개 이상 ⇒ 황색불 ≫  식습관이 보통 입니다. 잘못된 식습관을 바로 잡고

    6개 이하                      건강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2개 이하 ⇒ 청신호  ≫ 식습관이 좋은 편입니다. 꾸준히 유지하세요.

 

▶ 스트레스 체크 자가진단하기 = 나의 평소 생활 체크하기
① 최근 쉽게 긴장하고 사소한 일에도 화가 난다.
② 예전보다 직장이나 가정에서 충돌이 잦다.
③ 부안이나 긴장감 때문에 평소보다 술, 담배가 늘었다.
④ 늘 쫓기는 느낌이 든다.
⑤ 잠들기가 힘들며 잠을 자고 나도 다음날 몸이 개운하지 않다.
⑥ 무언가 하지않으면 진정이 안된다.
⑦ 불안과 긴장감을 해소하기 위해 진정제, 혹은 다른 약물을 복용한다.
⑧ 가슴이 답답하고 화끈거리고 토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⑨ 머리가 자주 아프거나 무겁다.
⑩ 목이나 어깨가 자주 결린다.
⑪ 나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⑫ 얼굴이 자꾸 화끈거리고 손발에 땀이 많아졌다.
⑬ 매사에 귀찮고 짜증이 난다.
⑭ 예전에 비해 소화가 잘 된지 않는다.
⑮ 최근 들어 크게 웃어본 기억이 없다.

◈ 결과 ◈
♤ 7개 이상 ⇒ 적신호 ≫ 스트레스 기준이 심각한 상태입니다.
                                      가까운병원에서 전문가와의 상담을 받아보세요.
♤ 3개이상 ⇒ 황색불  ≫ 스트레스 수준이 꽤 높은 상태입니다.
                                      6개 이하 휴식이 필요합니다
♤ 2개 이하 ⇒ 청신호 ≫ 건강한 상태 입니다


▶스트레스 해소법◀
1.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2. 하루에 단 몇분만이라도 모든 것을 잊어버리고 홀가분한 마음을 갖는다.
3. 스트레스를 줄이기 우해 담배나 카페인에 의존하지 않는다.
4. 꾸준히 운동하는 습간을 기른다.
5.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나만의 취미를 개발한다.
6. 충분한 후식을 취한다.
7. 혼자서 감당하기 어려운 일은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의논 한다.
8. 타인의 평가를 지난치게 의식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