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용미리석불입상과 득남불공▲마치 갓을 쓴 모습을 하고 있는 파주용미리 석불입상의 모습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 8번지 용암사 옆에 우뚝 선 ‘파주용미리석불입상’. 보는 이들을 압도하는 석불은 형태가 특이 하다. 거대한 자연석을 몸통으로 하고 그 위에 머리를 얹어 놓아 반은 자연적으로 반은 인공적으로 조성한 석불이다. 이러한 형태의 석불은 삿갓을 쓰고 있는 것으로 미래세계를 주관하는 미륵부처님으로 부른다. 마을 사람들은 이 석불입상은 ‘용미리 쌍미륵’이라 불렀으며 마을이름도 ‘미륵뎅이’라고 불린다.
고려 선종왕 셋째부인으로부터 아들을 얻다 원신궁주 꿈에 두 스님 나타나 배고픔 호소 왕명으로 장지산 바위에 모습새기고 절 건립 예로부터 아들을 낳지 못하는 사람들이 기도해서 득남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일설에 의하면 이 석불입상은 고구려시대에 천년암벽에 57척 2촌(18m)의 거대한 입상이 신령스런 힘에 의해 조각됐다고 하나 조각수법으로 볼때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확한 역사가 기록돼 있지 않지만 용미리 쌍미륵부처님에 얽힌 설화는 고려 때 나라의 후사를 이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셋째부인인 원신궁주를 맞이하며 후사를 잇기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우려하는 걱정은 백성들에게도 사라지지 않았다.
“이러다가는 고려가 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 됐어. 후사가 없으면 나라의 문을 닫는 것은 당연하니까.” 민심의 흉흉해짐과 더불어 선종의 걱정도 점점 깊어만 갔다. 그럴수록 셋째부인인 원신궁주의 처소를 찾는 횟수가 많아졌다. “부인은 반드시 왕자를 생산하여 이 나라의 대를 이어야 합니다.” “예, 전하. 전하의 바람대로 소첩이 반드시 왕실의 대를 잇도록 하겠사옵니다.” 불심이 돈독했던 원신궁주가 기도를 하기위해 방에 들어가면 궁녀들은 연신 이상한 징후를 발견하곤 했다.
“저기 봐. 궁주님이 들어간 방에서 이상한 광채가 나오고 있어.” 일까지 발생했다. 이러저런한 소문은 궁 안에 퍼졌다.
그러던 어느날 원신궁주의 꿈에 두 명의 도력 높은 스님이 나타났다. 원신궁주는 “스님. 어디라구요?”라며 두 수행승들이 사는 거쳐를 물어보려 하자 홀연히 사라져 버렸다. “필시 보통꿈은 아닌 게야. 스님들이 꿈에 나타난 것을 보면. 그것도 한 분도 아니고 도력높아 보이는 두분의 스님들이 나타난 것은 필시 좋은 일이 일어날 것임을 암시해 주는 걸 거야.” 선종임금 역시 고개를 끄덕이며 “부인에게서 필시 좋은 일이 일어날 징조인 것 같소”라며 동조했다. 선종은 이어 신하들을 파주 장지산으로 급파했다. “장지산을 샅샅히 뒤져보거라. 거기엔 필시 스님들이 수행을 하고 있을 것이야. 반드시 그들을 찾아 융숭히 대접해야 한다.” “전하. 장지산을 다 찾아보았으나 개미새끼 한 마리도 발견하지 못하였사옵니다. 다만 장지산 중턱에 큰 바위 두개가 스님 모습처럼 서 있을 뿐이었사옵니다.” 명령이 시달되자 고려에서 내노라하는 석공장인을 차출해 원신궁주가 구술해준 모습대로 거대한 바위에 도력놓은 스님의 모습을 새기기 시작했다. 마지막 점안법회를 봉행할 때는 임금과 원신궁주도 새롭게 태어난 모습을 친견하러 현장에 참석했다.
장막에 가려진 석불의 모습이 드러나자 백성들은 일제히 “저 분은 미륵부처님이야. 그것도 두 분의 미륵부처님, 그러니 쌍미륵부처님인게야”라며 절을 하기 시작했다. 바로 그해 원신궁주의 몸에서 태기가 감지됐고, 이 인연으로 태어난 왕자가 ‘한산후’인 ‘왕윤’이었다. 하지만 선종이 죽은 뒤 어린 헌종이 즉위하자 원신궁주의 오빠가 반역을 꾀하였다는 죄명으로 처형됐으며 원신궁주도 왕자 한산후와 함께 유배된 뒤 생사여부를 알 수 없게 됐다고 한다.
찾아가는 길 / 고양동 삼거리에서 파주 방향으로 가다보면 다시 삼거리가 나오는데 우측이 보광사 방면이고 좌측이 용미리(광탄)방면이다. 좌측 길로 들어오면 야산이 나오고 산을 넘으면 용미리 묘지가 보인다. 계속 지나다보면 서울 방향과 파주 방향을 알리는 삼거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파주방향으로 1km가량 오면 우측에 큰 화강암에 용암사라고 적힌 표석이 나온다. 용암사에 들어와 좌측 언덕을 올려다보면 용미리 석불이 보인다. 2) 대중교통은 고양동에서 용암사행 33,703번 버스가 있다. (031)942-0265 |
'불교설화 및 꽃의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포 용화사 미륵석불 (0) | 2009.11.12 |
---|---|
강화 정수사 함허대사와 각시바위 (0) | 2009.11.11 |
고양시 식사동의 유래 (0) | 2009.11.11 |
강화 전등사의 사랑이야기 (0) | 2009.11.11 |
경기도 오봉산 석굴암 (나한님) (0) | 2009.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