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개암사는 부안에서 보안을 향해 내려가다, 봉은에서 개암저수지를 휘돌아 올라가면 울금바위 아래 자리잡고 있다.
이 절은 백제무왕 35년(634년)에 묘련왕사가 변한에 있는 궁전을 절로고쳐 지을때 묘암의 궁전을 묘암사, 개암의 궁전을 개암사라 부른데서 비롯되었다.
40여년 후인 통일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원효대사와 의상대사가 이곳에 들어와 절을 다시 지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고려 충숙왕(1313년)때에는 원감국사가 순천 송광사에서 이곳으로 들어와 중창하면서 황금전, 청련각, 청허루등
30여동을 지어 큰 사찰이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웅보전, 응진전, 월성대, 요사채가 있어 한적한 편이다.
대웅전 오른쪽 새로 지은 요사를 둘러싼 대나무가지 울타리와 갈대는 입구의 단풍길과 함께 개암사의 고요한 멋을 더해준다.
보물 제 292호로 지정된 대웅전은 정면 3간, 측면3간의 팔작지붕으로 조선시대 초기의 건축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석가모니를 주불로 하여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협시불로 모셨다. 문수보살은 지혜의 상징이며, 보현보살은 중생을 제도하는 일을돕는 분이시다.
부안에 있는 개암사는 백제 무왕35년(634)에 묘련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합니다
(묘련왕사가 변한 개암의 궁전을 절로 고쳐 각각 개암사와 묘암사라 부른데서 비롯되었다.)
임진왜란때 불탄것을 조선 인조 14년(1636)에 계호스님이 중창 하였음 규모에 비해 우람한 기둥을 사용하여 안정감을
준 건물로서 곳곳에 용의 머리와 봉황을 새겼으며, 처마믿에는 화려한 연꽃을 조각하였음
일주문 = 특이한 것은 다른곳에 일주문에는 十二干地 이 없는 것같았는데
이곳에 일주문 안(六干地)과 밖(六干地) 지붕밑으로 十二干地 을 조각해 놓았다
일주문을 지나 법당으로 가는길
대웅보전(보물 제 292호)
주불이 석가모니불 이시고 좌우 보처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협시로 모셨다.
문수보살은 지혜를 상징하며 보현보살은 중생을 제도하는 일을 돕는 분이다
대웅전 뒤에 있는 바위는 울금바위라고 한다
법당안
신중탱화
울금바위와 개암사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주 송광사 = 1 (0) | 2010.08.02 |
---|---|
부안 = 내소사 (0) | 2010.05.06 |
[스크랩] 지리산 서암정사,금대암의 가을 (0) | 2009.11.06 |
[스크랩] 완주 위봉사의 여름 (0) | 2008.08.21 |
[스크랩] 금산사 (0) | 200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