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 부처님의 향기

진락공 중수 청평산 문수원기[眞樂公 重修 淸平山 文殊院記] 번역문

백련암 2016. 11. 17. 01:12

文平修公眞 

淸重

천 청평사의 뜰에 서 있었던 비석《진락공 중수 청평산 문수원기[眞樂公 重修 淸平山 文殊院記]》는

고려 때 명문재상가(名門宰相家) 출신으로 관직을 버리고 청평산에 들어와 선을 닦다 세상을 떠난

진락공(眞樂公) 이자현(李資玄 1061년~1125년)의 생애를 기록한 것이다.

 

이 비의 전면에는 김부식(金富軾, 1075년-1151년)의 동생 김부철(金富轍, 富儀, 1079년-1136년)이 지은 "청평사 문수원기(淸平山 文殊院記)"가,

후면에는 문종(文宗)의 넷째 아들로 이자현의 고종형인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년-1101년)의 제자 혜소(惠素)가 지은

"제청평산거사진락공지문(祭淸平山居士眞樂公之文)"이 이자현의 제자이자 당대의 명필로 신품사현(神品四賢)의 한 사람인

대감국사(大鑑國師) 탄연(坦然, 1070-1159년)의 글씨로 새겨져 있었다.


비 자체는 6.25때 완전히 파괴되어 파편으로만 남아 있지만, 전면의 "청평산 문수원기(淸平山 文殊院記)"는 동문선(東文選) 제 64권 기(記)에

원문이 수록되어 있고, 여러 탁본과 비교하면 본래의 원문을 거의 파악할 수 있다. 동문선에도 오자가 더러 있고, 심지어 비에 새겨진 글자에도 오자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문을 확정하기란 쉽지 않지만, 최근 복원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그러한 작업이 이루어 졌다.

아래는 이러한 작업끝에 얻어진 비교적 완전한 원문과 그 번역문이다.


淸平山 文殊院記(청평산 문수원기) 金富轍(김부철)

춘주(春州)의 청평산(淸平山)이란 것은 옛날 경운산(慶雲山)이요, 문수원(文殊院)이란 옛날의 보현원(普賢院)이다.

처음에 선사(禪師) 영현(永賢)이 당나라에서 신라국(新羅國)에 왔었는데, 태조(太祖)께서 즉위하신 지 후 18년 되는 을미(乙末)에

신라의 경순왕(敬順王)이 영토를 우리 나라에 바쳤으니, 이 때는 후당(後唐)의 청태(淸泰) 2년이었다.

광종(光宗) 24년에 선사가 처음 경운산에 이르러 절을 창건하고, ‘백암선원(白巖禪院)’이라 하였다. 이때는 송나라의 개보(開寶) 6년이었다.

문종(文宗) 23년 무신(戊申)에 전(前) 좌산기상시 지 추밀원사(左散騎常侍知樞密院事)인 이공(李公) 의(顗)가 춘주도 감창사(春州道監倉使)가

되어서 왔다가, 경운산의 좋은 경치를 사랑하여 백암선원의 옛터에다 절을 짓고 ‘보현원(普賢院)’이라 하였는데, 이 때는 희령(熙寧) 원년이었다.

그 뒤에 희이자(希夷子)가 벼슬을 버리고, 여기에 숨어서 지내면서부터 도둑도 없어지고 호랑이도 종적을 감추었다.

마침내 산이름을 ‘청평산(淸平山)’이라 고쳤다. 또한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나타난 것을 두 번 이나 보고,

불법의 요의(要義)를 마땅히 자문하여 결정해야 된다고 하여, 마침내 원(院)의 이름을 ‘문수(文殊)’로 바꾸고 인하여 다시 수리하였다.

희이자는 곧 이공(李公)의 맏아들로 이름은 자현(資玄)이며, 자(字)는 진정(眞精)인데, 용모가 헌칠하며 천성이 담박(淡泊)하였다.

원풍(元豐) 6년에 진사과(進士科)의 과거에 합격하여 원우(元祐) 4년에 대악서 승(大樂署丞)에 있다가, 벼슬을 버리고

세상을 피하여 다니다가 임진강(臨津江)에 이르러서 강을 건너면서 스스로 맹세하기를, “이제 가면 다시는 서울에 들어가지 아니하리라.” 하였다.

그의 학문은 대개 공부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나, 깊이 불교의 이치를 연구하였고, 특히 참선을 좋아하였다.

스스로 말하기를, 일찍이 《설봉어록(雪峰語錄)》을 읽었는데 모든 천지가 모두 눈[眼]이다. 너는 어디에 쭈그리고 앉아 있느냐는 말이 있었다.

이 말에 바로 번쩍 깨달은 바가 있었다. 이 때부터는 부처님의 가르치심에 대하여 다시는 의심하거나 막히는 것이 없었다.” 하였다.


그리고 나서 우리 나라의 명산을 두루 돌아다니며 옛날 성현(聖賢)의 유적(遺跡)을 탐방하였다.

뒤에 혜조국사(慧照國師)가 이웃한 산의 화악사(華岳寺) 주지로 있었기 때문에 왕래하면서 선(禪)의 교리를 질문하였다.

산에 있으면서 다만 채소 음식과 누비옷으로 검소하고 절제하며 청정한 것을 낙으로 삼았다.

절 밖에 있는 다른 동리에 사사로 거처하는 집을 지었는데, 그 암자ㆍ불당ㆍ정자 등이 모두 10여 개소나 되었다.

불당은 문성(聞性)이라 하였고 암자는 견성(見性), 선동식암(仙洞息庵) 등으로 각기 그 이름이 있었다.

날마다 이 속에서 생활하는데 어떤 때는 홀로 앉아서 밤이 깊도록 자지 아니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반석 위에 앉아 서 하루가 지나도록

돌아오지 아니하기도 하며 어떤 때는 견성암(見性菴)에서 입정(入定)하였다가 7일만에 나오기도 하였다.

일찍이 문인에게 말하기를, “내가 대장경(大藏經)을 다 읽고 여러 서적을 두루 보았으나, 《능엄경(楞嚴經)》을 제일로 치니,

이는 마음의 근본을 새겨주고 중요한 방법을 발명한 것인데, 선학(禪學)을 공부하는 사람이 이것을 읽는 사람이 없으니,

진실로 한탄할 일이라.” 하고 드디어 제자들에게 이것을 공부하게 하니, 배우는 자들이 점점 많아졌다.


예종(睿宗)께서 두 번이나 내신들에게 명하여 차와 향과 금으로 수놓은 비단을 특별히 내리시고, 인하여 대궐에 들어오라고 명하였으나,

공은 강을 건널 때에 처음 먹었던 마음을 저버리고 싶지 않아 끝내 교명(敎命)을 받들지 아니하였다.

정화(政和) 7년에 임금의 행차가 남경(南京)에 거둥하시는데, 공의 아우인 상서(尙書) 자덕(資德)을 보내어 임금이 행차히시는 곳에 나오기를 청해서,

인하여 임금께서 지으시고 손수 쓰신 시 한 편을 그에게 내렸다. 이르기를


평소에 보기를 원하였더니 / 願得平生見(원득평생견)

날이 갈수록 생각이 더하여라 / 思量日漸加(사량일점가)

어진 이 높은 뜻을 빼앗긴 어려우나 / 高賢志難奪(고현지난탈)

나의 마음 간절함은 어이하려나 / 其奈予心何(기내여심하)


공은 표문을 올리어 이를 사양하였으나, 임금의 간절하신 마음을 돌이킬 수는 없었다. 마침내 그 해 8월에 남경(南京)에 나아가서 뵈었다.

임금께서는, “도덕이 높은 노인을 여러 해 동안 사모하였는데, 신하의 예절로 보아서는 안 된다.” 하고 인하여 궁전 위에 올라서 절할 것을 명하고,

임금께서도 답례로 절하셨다. 자리에 앉아 차를 내어 놓고 조용히 얘기하시고, 인하여 잠시 삼각산(三角山) 청량사(淸凉寺)에 머무르게 하고,

임금께서 내왕하시며 선학(禪學)의 교리를 질문하셨다. 공은 마침내 《심요(心要)》한 편을 저술하여 올렸다.

그리고 나서 산으로 돌아갈 것을 굳이 청하였다. 그러자 차, 향, 도구, 의복을 내리시어 그가 떠나는 길을 돌봐주시고,

왕비와 공주도 의복으로 선물하는 예절을 차렸다. 선화(宣和) 3년에 이르러 상서(尙書)는 다시 왕의 명을 받들고

산중에 나아가서 특별히 능엄강회(楞嚴講會)를 개최하게 하시니, 여러 곳에서 학자들이 모여들어 강의를 들었다.


4년에 지금 임금께서 즉위하시어 특별히 측근의 신하인 이봉원(李逢原)을 보내어 간곡히 위문을 베푸시고 인하여 차와 향과 의류를 내리었다.

7년에 공의 건강이 조금 안 좋아지자 나라에서는 내시인 신하와 국의(國醫)를 보내어 문병하시고 겸하여 차와 약을 내리었다.

공은 장사지낼 곳을 미리 예정해 두었는데 하루는 문인에게 말하기를 “나는 오래 살지 못할 것이다. 내가 죽은 뒤에는 문인인 조원(祖遠)이 계속하여

이 절에 머무르고, 조원 이후에는 다시 도와 행실이 있는 사람을 택하여 서로 계속하여 주장이 되게 하라.” 하였다.


이 해 4월 21일에 또 문인에게 이르기를,

“인생의 목숨이란 덧없는 것이어서 나면 반드시 죽음이 있는 것이니, 부디 슬퍼하지 말고 도에 정신을 두어라.” 하더니,

말을 마치고 신시(申時)에 입적(入寂)하였다. 죽을 때에 임해서도 정신이 혼미하지 아니하여 보통 때처럼 웃으며 이야기하였다.

입적할 때에 이상한 향기가 방안에 자욱하더니, 차츰 온 산골에 두루 퍼져서 사흘 동안이나 그치지 않았다.

온 몸이 옥같이 깨끗하였고 몸을 움직이는 것이 살아 있을 때나 마찬가지었다. 23일에 모두 유언대로 장사를 지냈다.

원우(元祐) 4년부터 선화(宣和) 7년까지 산에 거주한 것이 17년이고, 나이는 65세를 누리었다.


건염(建炎) 4년 가을 8월에 특별히 시호(諡號)를 진락공(眞樂公)이라고 내렸다.

저술한 문장으로는 《추화백락공락도시(追和百樂公樂道詩)》한 편, 《남류시(南遊詩)》1권, 《선기어록(禪機語錄)》1권,

《가송(歌頌)》1권,《포대송(布袋頌)》1권이 있다.

이에 대하여 논하여 본다면 예부터 고상한 사람으로 숨어서 지낸 군자은 많았다.

대개 외로운 신하나 불행한 사람이 궁벽하게 지내면서 출세할 희망이 없는 자라야 이렇게할 수 있었다.


또 당초에는 산주에서 생활하는 것을 만족스럽게 여기다가 마침내 뜻을 굽히고 몸을 욕되게 하는 자도 있었다.

그러나 왕과 연혼한 세력 좋은 집 사람으로서 산림에서 일생을 마친 사람은 아직 듣지 못하였다. 공은 부귀의 세력을 가졌고,

또한 문장으로 높은 과거에 급제하고 좋은 벼슬에까지 올랐으니, 조정에 들어가서는 대신 노릇 하며, 나가서는 장군이 되는 것은

땅에서 지푸라기를 줍는 것과 같을 뿐이다. 그런데도 부귀를 헌신짝처럼 버리고 신세를 뜬구름과 같이 생각하여 영원히 산중에 들어가서

다시는 서울에 돌아오지 아니하였으니, 또한 이상스럽지 아니한가. 또한 더구나 공의 집안은 여러 세대에 걸쳐 임금의 외척으로

삼한 (三韓)의 으뜸가는 양반인데, 공만이 홀로 속세를 떠나 자유롭게 노닐며 세속적인 귀찮은 일에 미치지 않았다.

인격과 명망이 더욱 높았으니, 어찌 지식 있는 사람들만이 칭찬하며 탄식할 뿐이겠는가. 시골에서 농사짓는 백성들까지도 소문을 들은 사람이면

누구나 사랑하며 존경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대개 충심으로 사람을 일깨우고 믿음으로 일을 대하면 그 지극한 정성이

인간과 귀신에게까지 감동되지 않는 법이 없는 것이다. 이것이 산중에 있을 적에는 도둑이 없어지고 호랑이가 종적을 끊은 이유가 아닌가.


옛적에 양홍(梁鴻)이 패릉산(覇陵山)에 들어갈 때에는 고상한 선비라 할 수 있었으나 그의 아내인 맹광(孟光)과 함께 숨어서 살았고,

방공(龐公)이 현산(峴山)의 남쪽에 거처하면서 성중에 들어간 적이 없었다 하나, 오히려 처자를 데리고 있었으니,

어찌 공이 기욕(嗜欲)에 대한 감정을 잊어버리고 아무 것도 없는 세계에 몸을 둔 것과 같겠는가. 담박하고 고결하여 일반 사람으로 서는

맛볼수 없는 것을 맛보고 처음부터 끝까지 흔들린 바가 없어 확고한 높은 절조가 세력에 의하여 변하지 아니하였다.

서늘한 맑은 바람은 언제나 사람의 마음속을 비쳐 주고 있으니 정말로 고상한 인품이며, 숨어 있는 군자로서는 아마 고금에 한 사람뿐이리라.


문인(門人)인 조원(祖遠)이 공의 행장(行狀)을 가지고 와서 나에게 기(記)를 지어 주기를 청하였다.

그의 청이 간절하였으므로, 마침내 이 기를 쓰면서 아울러 공의 약력을 이렇게 자상히 말하였다.

그 청평산(淸平山)의 산과 물과 골짜기의 좋은 경치는 실로 우리 나라에서 아름다운 곳이지만,

이것은 장차 문장에 능한 사람을 기다려서 짓게 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원문


淸平山文殊院記[金富轍]

春州淸平山者。古之慶雲山。而文殊院者。古之普賢院也。初禪師永賢。自唐來于新羅國。至太祖卽位之十八年。歲在乙未。新羅敬順王納土。

是時後唐淸泰二年也。至光廟二十四年。禪師始來于慶雲山。創蘭若曰白巖禪院。時大宋開寶六年也。至文廟二十三年。歲在戊申。

故左散騎常侍知樞密院事李公顗。爲春州道監倉使。愛慶雲勝境。乃卽白巖之舊址。置寺曰普賢院。時煕寧元年也。其後希夷子。棄官隱居于玆。

而盜賊寢息。虎狼絶迹。乃易山名曰淸平。又再見文殊宜應咨决法要。乃易院名曰文殊。而仍加營葺。希夷子卽李公之長男名資玄。

字眞精。容貌瑰偉。天性恬淡。元豐六年登進士第。至元祐四年。以大樂署丞。棄官逃世。行至臨津。過江自誓曰。此去不復入京城矣。其學盖無所不窺。

然深究佛理。而偏愛禪寂。自稱甞讀雪峯語錄云。盡乾坤是箇眼。汝向甚處蹲坐。於此言下豁然自悟。從此以後。於佛祖言敎。更無疑滯。

旣而遍遊海東名山。尋訪古聖賢遺迹。後遇慧照國師住持山隣華岳寺。往來諮問禪理。居山唯蔬食衲衣。以儉約淸淨爲樂。院外別洞。構閒燕之所。

其庵堂亭軒。凡十有餘處。堂曰聞性。菴曰見性。曰仙洞息菴等。各有其名。日以逍遙於其中。或獨坐夜艾不寐。或坐盤石經日不返。或入定見性菴。

七日乃出。甞謂門人曰。吾窮讀大藏。徧閱群書。而首楞嚴經。乃符印心宗。發明要路。而禪學人未有讀之者。良可嘆也。遂令門弟閱習之。而學者䆮盛。

睿廟再命內臣等。以茶香金繪。特加賜予。仍命赴闕。公不欲負過江初心。竟不奉敎。政和七年。乘輿幸于南京。遣公之舍弟尙書資德。請赴行在。

仍以親製手書詩一首賜之曰。願得平生見。思量日漸加。高賢志難奪。其奈予心何。公上表辭之而懇切不回。乃以其年八月。謁于南京。上曰。

道德之老。積年傾慕。不可以臣禮見之。固命拜于殿上。上亦答拜。旣坐。進茶湯。從容說話。仍命蹔止于三角山淸涼寺。上乃往返。諮問禪理。

公於是述進心要一篇。旣而固請還山。乃賜茶香道具衣服。以寵其行。而王妃公主亦以衣服。各致餽獻之禮。至宣和三年。尙書再奉王命。詣于山中。

特開楞嚴講會。而諸方學者。來集聽受。四年今王卽位。特遣近臣李逢原。曲加存問。仍賜茶香衣物。七年。公有微疾。遣內臣國醫問疾。兼賜茶樂等。

公豫占安葬之地。一日謂門人曰。吾不久住。吾沒後門人祖遠繼住山門。自遠以後。亦擇有道行者。相繼爲主。是年四月二十一日。又謂門人曰。

人命無常。生必有死。愼勿爲戚。以道爲懷。言訖申時入寂。臨終聦明不亂。談笑如平生。入寂時。異香滿室。漸徧山洞。三日不歇。擧體潔白如玉。

屈伸如平生。二十三日襄事。並如遺敎。自元祐四年。至宣和七年。住山已一十七年。享年六十五。至建炎四年秋八月。特賜謚曰眞樂公。所著文章。

有追和百樂公樂道詩一卷。南遊詩一卷。禪機語錄一卷。歌頌一卷。布袋頌一卷。甞試論之。自古高人隱君子多矣。大抵孤臣孽子窮僻不遇者而後能之。

又始則甘心於山林。終則降志辱身者有之。若夫王親勢家。而能終身於林下者。未之聞也。公以富貴之勢。又以文章。取高第登美仕。其入相而岀將。

如拾地芥耳。而棄富貴如弊屣。觀身世如浮雲。長往山中。不復京城。顧不異哉。又况公之族親。累世外戚。爲三韓之甲族。而公獨逍遙乎塵垢之外。

而世累不及。德譽愈尊。豈特爲有識者咨嗟歎息而已哉。至於村野畎畝之氓。苟聞德風者。無不愛而敬之。盖諭人以忠。待物以信。而至誠感乎人神。

此所以居山中。盜賊寢息。虎狼絶迹者歟。昔者梁鴻之入覇陵山也。可謂高士。然有孟光之俱隱。龐公之居峴山之陽也。未甞入城府。然有妻子之携。

豈若公忘情於嗜欲。放身於無何。恬淡高潔。味乎人之所不味。而始終無所撓。確乎高節。不爲勢遷移。凜然淸風。常照人心膽。眞可謂高人隱君子。

盖古今一人而已。門人祖遠。以公行狀。請余爲記。其請勤勤。乃爲之記。而兼詳言公之終始本末如此。若夫淸平山水洞壑之幽勝。實東方之美者。

將以待能文之士賦之。此不及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