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부처님의 십대제자 * <說法第一 의 富樓那>* 7)설법제일 부루나(說法第一富樓那) 본명은 푸르나 마이트라야니 푸트라(Purna maitrayani putra)다. 풀어보면 자애로운 마음으로 충만된 여성의 자식이라 할 수 있다. 이 말은 만자자(滿慈子), 만족자자(滿足慈子)등으로 의역 되었으며 부루나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는 그 음역으로 줄여서 부루나라 .. 천년의 인연 2008.01.18
6]* 부처님의 십대제자 *<持戒第一 의 우바리>* 6)지계제일 의 우바리(持戒第一 의 優婆離) 계율을 지키는데 있어 타의 모범이 되었을뿐더러 그 계율조항을 가장 많이 알고 있는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의 한사람이다. 그는 노예 출신으로 부처님 교단에 입교한 대표적인 인물로 계급을 떠난 부처님 교단의 평등성을 몸으로 보여준 인물이다. 산스크리.. 천년의 인연 2008.01.18
5]* 부처님의 십대제자 * <多聞第一 의 阿難>* 5)다문제일 의 아난(多聞第一 의 阿難) 아난은 부처님의 사촌동생으로 정반왕이 아난다(Ananda;기쁨,환희)로 이름을 지어 주었다. 아난은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이룬 후 붓다가 되어 고향인 카필라 성으로 돌아왔을 때 출가한다.당시 그의 나이 8세 였지만 석가족의 자연스러운 출가 분위기에 따라 사촌들.. 천년의 인연 2008.01.18
4]* 부처님의 십대제자 *<天眼第一 의 阿那律>* 4)천안제일 의 아나율(天眼第一 의 阿那律) 산스크리트명은 아니룻다(Aniruddha)이다. 무멸(無滅), 불멸(不滅)등으로 의역 된다. 아나율은 석가모니불의 사촌형제다. 부처님의 작은 아버지 감로반왕(甘露飯王)의 아들이었다.아나율은 마하남이라는 형의 출가권유를 받고 석연치 않게 출가를 결심했다. 석.. 천년의 인연 2008.01.18
3]*부처님의 십대제자 *<頭陀第一 의 마하가섭>* 3)두타제일 의 마하가섭(頭陀第一 의 摩訶迦葉) 마하가섭은 마가다국 왕사성 마하사타라 마을의 핍팔라(pippala)라는 나무의 정기를 받고 태어났으므로 어릴적 이름이 핍팔라야나라 했으며 그가 속한 종족이 마하카샤파였으므로 훗날 마하카샤파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음역이 마하가섭이다. 마하.. 천년의 인연 2008.01.18
2]* 부처님의 십대제자 * <神通第一 의 目建連>* 2) 신통제일 의 목건련(神通第一 의 目建連) 마가다국 왕사성 근처의 콜리타라는 마을의 한 부유한 브라만 사제의 외동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부처님의 교단에 사리불과 함께 들어온 후 맹렬하게 수행한 결과 진리를 깨닫고 십대제자의 반열에 끼게 된다. 열명의 제자 중 목건련의 두드러진 특기는 신.. 천년의 인연 2008.01.18
1]* 부처님의 십대제자 *(智慧 第一 의 舍利佛)* 1) 지혜제일 의 사리불(智慧第一 의 舍利佛) 십대제자 중에서 제일 먼저 귀의한 인물이 사리불과 목건련(目建連)이다. 산스크리트명은 샤리푸트라(Sariputra)로 샤리의 자식이라는 뜻이다. 사리자(舍利子)라고도 하며 마갈타국 왕사성 북쪽 나라촌에서 바라문으로 출생. 이웃의 목건련과 함께 육사외도(.. 천년의 인연 2008.01.18
[스크랩] 요가 수행의 10가지 수칙 요가 수행의 10가지 수칙 요가는 단순한 체조가 아니다. 호흡과 마음, 육체적 수련을 통해 자신의 본성을 찾고 생명의 근원적 각성과 일상에서의 평온을 잃지 않은 명상적 수행법이다. 또한 인간이 자연과 가까워짐으로써 본능적인 자가 치유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요가행자들은 다음의 10가.. 생활과 건강 2008.01.17
[스크랩] ☆ 태양 예배 12 자세 ☆ 태 양 예 배 하타요가 아사나(자세)를 하기위한 준비자세로 12가지의 연속동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자세의 포인트는 천천히 호흡에 맞춰해 나가는데 있다. 태양예배는 가슴을 넓혀주고 호흡을 순환시켜 척추와 인대에 탄력을 주고 허리를 유연하게 해주는 아주 중요하고 훌륭한 자세이다. 1 번째.. 생활과 건강 2008.01.17
[스크랩] 사명대사 사명대사 속성 임(任). 본관 풍천(&#35920;川). 자 이환(離幻). 호 사명당(泗溟堂/四溟堂) ·송운(松雲) ·종봉(鍾峯). 시호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속명 임응규(任應奎). 유정은 법명. 경남 밀양(密陽) 출생. 어려서 조부 밑에서 공부를 하고 1556년(명종 11) 13세 때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孟子).. 깨침과 영혼의 말씀 2008.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