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보살
지혜를 주신 문수보살
당(唐)나라의 법운(法雲)대사는 중국의 안문군(雁門郡)에서 태어난 사람으로 성품이 순박하여
남들이 자기를 헐뜯거나 칭찬하거나 하여도 동요하지 않고 항상 그 생각과 태도가 담담하였다.
어려서는 글방에 가서 글을 읽기 시작했으나 머리가 둔하여 도무지 글을 외우지 못하는 학생이었다.
그래서 열두살이 되던 해에 오대산 화엄사의 정각(淨覺)선사에게 가서 머리를 깎고 출가하여
나무하고 밥 짓는 등, 절의 온갖 궂은 일을 도맡아 하면서도 고달픈 줄을 몰랐다.
그러나 36세가 되도록 글을 외우지 못하니 대중이 모두 그를 소 라고 부르고 놀려대었다.
법운은 자신의 처지가 이러하자 매일매일을 살아가는 것에 아무런 희망이 없어 하루는
한탄하여 말하기를 "이렇게 어리석은 바보가 오래 살면 무엇하랴." 하고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문수보살을 만나 총명을 얻어야겠다는 일념에 길을 떠날 것을 결심했다.
눈보라가 몰아치는 속을 맨발로 오대산을 순례하면서 일심으로 문수보살만을 생각했다.
이렇게 돌아다니느라고 추워도 옷을 입을 생각을 하지 않았고 먹어도 맛을 몰랐으며
안으로 내 몸과 밖으로는 어떤 물건도 잊어버리고 오로지 문수보살만을 찾았다.
사람을 만나기만하면 문수보살이 어디 계시느냐고 물으면서
오대산을 두루 돌아다녔지만 보살은 찾을수가 없었다.
이렇게 헤매다 다시 동대로 갔더니 거기서 불을 쪼이고 있는 어떤 노인을 만나게 되었다.
다가가서 문수보살이 어디 계신지 아느냐고 물었더니,
노인: "그대는 문수보살을 왜 찾는가.?"
법운: "제가 하도 우둔하여 보살을 만나면 총명케하여 주기를 바래서입니다."
노인: "이 말라깽이 천치야. 너는 그를 만날 필요가없어.!" 하며 일갈하니
법운은 '아마도 미친 늙은이인가 보다' 하고 생각하고는 다시 북대로 갔더니
그 노인이 거기서 눈보라를 맞으며 앉아있는 것이 아닌가!
이상하게 생각되어 혹시나 이분이 문수보살이 아닐까 하고 앞에 나아가 공손히
절을 하였다.
그러나 배가 고프고 몸은 얼어붙고 피곤하여 그만 쓰러져서는 입으로 피를 토하고
꿈꾸는 듯 정신이 혼미하였는데
노인이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그대는 전생에 법사로서 불법을 공부했으나 그것으로 남으로부터 이익을 취하고
부양해 주기만을 탐내어 불법을 잘 말하여주지 않은 탓으로 죽어서 소가 되어
그 빚을 갚았고 그러나 불법을 배워 익힌 공덕으로 지금 다행히 사람이 되었으나
불법을 전해주기를 아끼던 버릇으로 외울 총기가 없느니라." 하면서
철막대기를 뱃속에 넣어 심장을 꺼내어 보이는데 마치 소의 염통 같았다.
노인은 그것을 샘물에 잘 씻어서 다시 넣어 주고는 '일어나라' 고 외쳤다.
꿈을 깨듯이 일어나니 아픈 데는 전혀 없고 전신에 땀이 흘러 온 몸이 흠뻑 젖었다.
노인을 찾았으나 온데간데 없고 상서러운 구름이 일어나고 부드러운 바람이 옷에 스칠 뿐이었다.
하늘을 바라보니 둥근 광명이 거울같이 밝은데
그 노인이 연꽂 위에 앉아서 황홀하게 지나가는 것이 보였다.
법운은 그 후부터 전생에 익혔던 경전이 완연히 기억되어 마치 옛 것을 다시 찾은 것 같은 느낌이었다.
이후로는 몸이 다하도록 불도를 닦고 대중을 교화하는데에 일생을 바쳤다고 한다.
'불교설화 및 꽃의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신 칼을 받은 돌부처님 (0) | 2008.04.11 |
---|---|
방거사와 그의딸영조 (0) | 2008.04.08 |
<법구경>의 인연설화 (0) | 2008.04.08 |
달을 가리키면 달을 보아야지/ 진묵대사의 일화모음제 5장 (0) | 2008.04.02 |
달을 가리키면 달을 보아야지/ 진묵대사의 일화모음제 4장 (0) | 2008.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