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구본사와 사찰 벽화 이야기

조계사 벽화이야기

백련암 2013. 1. 15. 17:45

조계사  벽화이야기

 

 1) 석존의 전신 호명보살이 입태할 곳을 살피시다.

 

석가세존의 전신(前身)인 호명보살(護明菩薩)이 보살만행을 닦아서 갖가지 공덕을 만족하게 이루어 한 생 있다가 부처를 이룰 일생보처보살(一生補處菩薩)의

몸으로 도솔천 내원궁에서 하늘 중생을 제도하고 계시었다. 그때 호명보살은 사바(沙婆) 중생을 제도할 인연이 왔음을 관찰하시고 여러 하늘 임금에게 여래의

부모 될 사람을 물색하도록 명하신 바, 금단천자가 카필라국의 석가족은 대대로 성왕(聖王)이 나타나 백성을 덕으로 교화하였고, 현재는 사자협왕(獅子頰王)

의 아들인 정반왕(淨飯王)이 백성을 통치하고 왕후는 마야부인인데 매우 현명하고 단정하신 분이니 그를 부모로 정하심이 어떠한가 하고 아뢴다.

그러자 호명보살은 일생보처보살이 태어날 곳은 60가지 공덕이 구족되어야 하고 어머니 되실 분은 32가지 공덕을 갖추어야 하는데 정반왕과 마야부인이

마땅하니 부모로 선택할 것을 결정하신다.

 

 

 

2) 마야부인의 태중에 드시다. - 도솔래의상(蔸率來儀相) [팔상도 1]

 

마야부인은 정반왕을 모신지 10년이 되었으나 아직 후사(後嗣)가 없으므로 아침, 저녁으로 목욕재계하고 하늘에 기도를 드리며 훌륭한 왕자를 잉태하기를

기도하였다. 그렇게 지성으로 기도하기를 100일이 되어 가는 초가을 보름달 밤 난간에 기대어 졸다가 기이한 꿈을 꾸었다.

하늘문이 열리며 오색광명이 뻗치고 상서로운 구름이 하늘을 덮은 그 속에 연화관을 쓴 거룩한 상호를 갖춘 보살이 여섯 개의 상아가 돛인 흰 코끼리를 타고

좌우에 무수한 하늘 사람과 보살들의 호위를 받으며 부인 앞에 이르러 합장하고 “소자는 다생의 인연으로 부인께 입태하오니 어여삐 여기소서.”하고는

오른쪽 옆구리로 드는 태몽이었다.

 

 

 

3) 룸비니 꽃동산에 탄생하다. -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팔상도 2]

 

태자를 잉태한 정반왕비는 산달이 되자 당시의 풍속대로 친정에 가서 순산하기 위해 화창한 봄날 룸비니 동산을 지나던 중 잠시 연(輦)에서 내리어 백화만발

한 꽃동산을 구경하게 되었다. 그 동산 한복판에 무우수(無優樹:바라차 나무)가 있었는데 오른손을 들어 나뭇가지를 잡았다. 그 때에 뱃속의 아기가 태동하여

아는 듯 모르는 듯 태자를 탄생했다. 태자가 한손으로 하늘을, 한손으로 땅을 가리키며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옮기는데 땅에서 연꽃이 솟아 올라와 태자를

떠받들었다. 태자는 낭랑한 음성으로 갓난아이답지 않게 “하늘 위 하늘 아래 나 홀로 높다. 삼계가 모두 고통이니 내가 편안케 하리라. (天上天下 唯我獨尊 三

界皆苦 我當安之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고 외치었다. < 수행본기경(修行本起經)>, < 보요경(普曜經)>, < 태자서응경(太子瑞應經)>,

< 과거현재인과경(過去現在因果經)>, < 방광대장엄경(方廣大莊嚴經)>

 

       

4) 아시타 선인의 예언 - 선인점상(仙人占相)

 

태자의 탄생 소식을 들은 정반왕의 기쁨은 그지없었고 나라 안팍이 온통 경축의 도가니였다. 그리고 곧 이름 높은 바라문을 불러서 태자의 이름을 싯달타

(Siddartha)라고 명명하였다. 싯달타(Siddartha)는 모든 것이 다 성취된다는 뜻이다.

그때에 선산(仙山)에서 백여 세 동안 수도하던 아시타(Asita)선인은 이상한 기운이 하늘에서 무지개처럼 카필라국에 뻗치는 상서로움을 보고 대각성자께서

이 세상에 오셨음을 짐작하고 하산하여 궁궐로 태자를 친견하러 찾아왔다. 아시타 선인은 태자의 상을 두루 살피고 일어나서 태자의 발에 경례하고 슬퍼하며

눈물을 흘렸다. 정반왕은 놀라서 까닭을 물으니 “태자의 상을 보니 32상 80종호를 갖추어 반드시 부처가 되실 터인데 자신은 나이가 많아 부처님을 뵐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5) 치국평천하의 입태자식 관정례(灌頂禮)를 하다.

 

고대인도 풍속에 태자의 나이가 성장하면 사해(四海)의 바닷물을 머리에 붓는 관정식과 아울러 태자식을 올리게 되어 있다. 인과경에는 태자가 15세 때에

관정식을 행하였다고 하며, 남전불교에서는 태자가 다섯 살 때에 관정식을 행하였다고 한다. 정반왕은 대신들과 의논한 뒤 길일(吉日:2월 8일)을 택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보배병에 사해의 바닷물을 길어오게 하여 이것을 바라문에게 주고 바라문은 대신에게, 대신이 왕에게 바치면 왕이 태자의 머리에 붓고

갖가지 꽃과 향과 음악으로 입태자식을 성스럽게 거행했다.

 

 

6) 학문과 무술과 남김없이 통관한 싯달타태자

 

당시 인도에서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에 24종이 있고 심신을 단련하는 무술에 29종이 있었는데 싯달타 태자는 소년기에 이미 문무를 다 통달하여 더 가르칠만

한 스승이 없었으니 차라리 그는 스승이 가르치기 이전에 모든 것을 다 통해 있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누구라도 학문과 총명한 지혜와 무술과 체력으로든

감당할 수 없는 경지였다.

 

 

7) 야소다라 비를 맞이하다.

 

염부수(閻浮樹: 잠부 jambu나무) 아래의 명상(冥想) 이후 태자는 항상 무엇을 깊이 생각하며 세속의 오욕향락을 달갑게 여기지 않으므로 정반왕은 아시타

선인의 예언을 생각하며 태자의 마음을 사로잡고자 세속의 향락으로 유도하였다. 이웃나라의 절세 미녀 야소다라(Yosodhara)공주가 있었는데 그의 총명함과

아름다운 마음씨는 온 천하에 칭송이 자자했다. 태가가 17세가 되자 정반왕은 그녀를 태자비로 맞이하고자 했는데 경합자가 너무 많아 관례에 따라 무술시합

으로 결정짓게 됐다. 싯달타 태자도 부왕의 명을 받고 이 시합에 참여하여 크게 승리하고 야소다라 공주를 태자비로 맞이하게 되었다.

 

 

8) 생로병사의 허무를 관찰하다. -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팔상도 3]

 

싯달타태자는 어느 날 궁궐의 사대문 밖으로 나아가 백성들이 살고 있는 민정을 시찰하게 됐다. 그 때 동문으로 나아가 머리에는 흰 서리를 이고 활등같이

굽은 허리를 지팡이에 의지해 걸어가는 노인을 보았고, 다시 남문으로 나아가 살가죽은 말라붙고 뼈만 앙상한 것이 길가 더러운 땅에 쓰러져 ‘나를 좀 일으켜

달라’고 목 메인 소리로 외치는 병자를 만났다. 그리고 다시 서문에서는 한 시체를 상여 위에 메고 가는 처자와 권속이 그 뒤를 따르며 가슴을 치며 목메어

울부짖는 처참한 광경을 보았다. 다시 북문으로 나아갔는데 그곳에서 어떤 사문(沙門)을 만났다.

그것을 본 태자는 궁궐로 돌아와서 7일 동안 명상에 잠겨 있었다.< 본행경>인생의 허무와 태어나고 늙고 병들어 죽는 인생의 근본 고(苦)를 깊이 관찰하고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한 인생의 행락은 불타는 집 안에서의 놀이일 수밖에 없다고 크게 비관하고 개탄하였다.

 

 

9) 세 명의 태자비와 세 궁궐 

태자의 출가할 뜻을 크게 걱정한 부왕은 제2비 구리와 제3비 녹야를 더 맞이하고 연못에서는 푸른 연꽃, 붉은 연꽃, 흰 연꽃이 피고 겨울, 여름, 우기를 지낼 수

있도록 세 궁궐을 더 세워서 여름이면 시원하고, 겨울이면 따뜻하게 하는 등 온갖 배려를 다했다. 그러나 태자는 아름다운 세 태자비의 지극한 애정과 수많은

미녀 궁녀들이 받드는 인간 최대의 부귀영화와 행락을 인생 배후에 숨은 검은 도적의 영상으로 보아 전혀 뜻을 두지 않고 오직 인생의 깊은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최대의 적(賊)인 생사를 해결하기 위한 명상에만 전념했다.

 

 

10) 한밤에 성을 넘는 태자 -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팔상도 4]

 

정반왕은 태자의 마음이 오직 구도 일념으로 뭉쳐 있음을 짐작하고 크게 걱정한 나머지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장수와 군사들로 궁성 안팎을 철저히 지키

록 했다. 그렇지만 싯달타 태자는 생의 본래 면목을 밝혀서 생로병사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인생의 참다운 행복이란 존재할 수 없음을 통감하였기

때문에 이것을 위한 구도의 출가를 단행하기에 이른다.

2월 8일<출가제일> 한밤중에 부왕의 간절한 애정과 아름다운 세 명의 태자비와 이별하고 애마(愛馬) 간타카를 타고 마부 차익(車匿: 찬다카chandaka) 한

사람만을 데리고 성을 뛰어 넘어 출가한다.

 

 

11) 스스로 머리를 깎고 사문이 되다.

 

한밤중에 성을 넘어 출가한 싯달타태자는 차익과 함께 히말라야산 깊은 숲 속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여러 달 만에 마침내 박가바 선인이 수행하는 숲 근처에 다다르니 과연 세속의 때를 벗을 수 있는 수행처였다.

태자는 그곳의 아노바강 상류 기슭에 자리 잡은 후 찬나에게 “내가 이제 성불해서 중생을 제도하지 않고는 환궁하지 않을 것이니

부왕께 이 뜻을 잘 말씀드려라”고 당부했다.

 

 

12) 설산의 6년 고행 -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팔상도 5]

 

당시의 수행자였던 박가바와 알라라 칼라마 그리고 웃다카라마풋타 등을 찾아보았으나 그들의 수행의 목표가 천상에 태어나고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을

증득(證得)하여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이 목표이지 일체종지(一切種智)를 성취하여 궁극적인 고통의 해결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태자는

마가다국 니련선하(尼連禪河:네란자라 Nairanjara) 동쪽 가야산(伽耶山) 깊은 곳 나무 아래에 자리하여 고행을 시작했다.

 

싯달타는 그 당시 인도의 고행자들이 수행하는 가운데 가장 어려운 고행만을 골라 수행했다. 몇 톨의 낟알과 한 모금의 물로 하루를 보내어

눈은 해골처럼 움푹 들어가고 뺨은 가죽만 남았다. 몸은 뼈만 앙상한 몰골로 변해갔다.

죽지 않고 살아있었다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였다. 그러나 싯달타는 아직도 완전한 번뇌를 끊지 못했으며 삶과 죽음을 뛰어 넘지도 못했다.

 

 

 

13) 수자타(선생녀)의 유미죽 공양

 

고행을 시작한 지도 다섯 해가 지나갔다. 아무도 감히 흉내 낼 수 없는 지독한 고행을 계속해 보았지만 자기가 바라던 최고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했다.

어느 날 싯달타는 그가 지금까지 해 온 고행에 대해 문득 회의가 생겼다. 육체를 괴롭히는 일은 오히려 육체에 집착하고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육체를 괴롭히기 보다는 차라리 그것을 맑게 가짐으로써 마음의 고요도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었다.

그는 고행을 중지하고 단식을 그만두기로 했다.

그는 지나치게 지쳐버린 육체를 회복하기 위해서 네란자라강으로 내려가 맑은 물에 몸을 씻었다.

목욕을 한 뒤 강가의 큰 나무 아래 앉아 있을 때

우루벨라 촌장의 딸인 수자타 여인이 유미죽을 태자에게 받들어 올리니 유미죽의 맛은 비길 데 없이 감미로웠다.

그것을 마시고 나니 그의 몸에서는 새 기운이 솟아났다.

이것을 본 다섯 명의 수행자는 싯달타가 타락했다고 하여 그의 곁을 떠나 바라나시의 녹야원으로 가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