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제일의 비구니 선원, 승가사(僧伽寺)
승가사의 가람은 북한산 비봉을 등지고, 북악산과 인왕산을 조산으로 터를 잡아 수도 서울이 한눈에 조망된다.
북에는 승가사, 서에는 진관사, 남에는 삼막사, 동에는 불암사라 하여 한양 근교의 명승사찰을 꼽았는데 그중에서도 신라의 고찰로서
참선수도 도량으로 이름 높은 승가사는 고려시대부터 많은 시인 묵객이 승가사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절찬하는 시와 글을 남겨 놓았다.
승가사의 창건은 756년(경덕왕 15)에 수태(秀台)스님에 의하여 이루어졌다고 한다. 수태스님은 중국 당나라 고종 때 장안 천복사(薦福寺)에서
생불(生佛) 소리를 들었던 서역 출신의 승가대사(僧伽大師)의 거룩한 행적을 듣고 그를 경모하는 뜻에서 절의 이름을 승가사라 하였다고 한다.
절은 고려시대에 와서 1024년(현종 15)에 지광(智光), 성언(成彦)스님 등에 의하여 중창되었고, 1090년(선종 7)에는 구산사(龜山寺) 주지였던
영현(領賢)스님이 왕명으로 다시 중수하였다. 1099년(숙종 3)에도 영현스님이 재차 중수하였는데,
이 때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왕과 왕비를 모시고 참배하면서 불상을 개금하고 불당을 중수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1422년(세종 4)에 왕이 전국의 사찰을 통합, 선교양종으로 나눌 때 선종에 속하게 되었다.
임진왜란을 맞아 절이 크게 소실되었고, 병자화란 때 다시 북한산 일대의 절이 화란을 입으면서 승가사는 자치를 감추게 되었다.
이후 1780년(정조 4년)에 성월(城月)선사가 폐허로 남아 있던 곳에 돌을 고르고 전각을 재건하여 승가사의 법등은 다시 이어져 갔다.
이후로도 절은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를 거쳤으며, 고종 때는 명성황후와 엄상궁의 후원으로 중건하기도 했다.
근대에는 1941년 도공(道空)스님이 다시 중수하였고, 비구니 도원(道圓)스님이 도량을 가꿔 나갔으나 한국전쟁 때 모두 소실되었다.
그러던 것을 1957년 비구니 도명(道明)스님이 산신각, 향로각, 동정각, 대방, 요사 등의 불사를 이루어 절을 일신하였다.
1971년에는 상륜(相侖)스님이 주지로 부임하여 마애석불에 오르는 백팔계단의 대리석 조성을 시작으로 절의 진입로를 확장하고 전기를 가설하는 등
20여 년 동안의 정진을 통해 사세를 확장시켰다.
이렇게 해서 대웅전 중창을 비롯하여 명부전, 영산전, 향로각, 산신각, 동정각, 적묵당, 대중선방, 일주문 등 현재의 대가람을 형성하게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3권 한성부 불우(佛宇)조에 잘 보이고 있다. 곧 이예라는 사람의 중수기에 있는 말이라고 하면서
최치원의 문집을 보면 “옛날 낭적사(狼跡寺)스님 수태가 승가대사의 거룩한 행적을 익히 듣고 삼각산 남쪽에 좋은 자리를 정하여 바위를 뚫어
굴을 만들고 돌을 쪼아 형상을 새기니 대사의 어진 모습이 더욱 우리나라에 비추었다.
나라에서 천지의 재변과 홍수와 한발 등의 재난이 있으면 기도를 드려 물리치곤 했는데, 그럴 때마다 언제나 효험이 있었다.”라는 말을 옮겨 놓았다.
이예가 쓴 이 중수기는 현재 『동문선(東文選)』권64에 그 전문이 전하고 있다.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 보물 제 215호. 시대 : 고려
거대한 크기의 이 불상은 낮은 부조이며 보존상태가 매우 좋은 편이다.
높고 큼직한 육계를 갖춘 머리는 민머리이며, 이마에는 백호공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얼굴은 방형에 가깝게 풍만하며, 오똑하게 솟은 콧날과 꾹다문 입, 가늘게 내려뜬 눈과 눈썹 등이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두 귀는 어깨에 닿을 정도로 길고 크며 목에는 삼도가 희미하게 나타나 있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채 왼쪽 어깨로 걸쳐 입은 우견편단의 불의는 넓은 옷깃이 왼쪽 어깨로부터 오른쪽 겨드랑이로 부드럽고 활달한 선을
이루며 흘러내리고 있다. 그러나 반듯하게 각진 어깨며 밋밋한 가슴 등에서는 형식화의 흔적이 뚜렷하여 입체감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오른팔을 약간 내려서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손은 율동적인 면도 잘 나타내고 있다.
또 두 무릎은 넓어서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대좌에는 화사한 연꽃무늬 조각되어 있다.
대좌로부터 시작되는 광배는 굵은 선으로 아무 장식없이 조각된 거신광이다.
전체적으로 풍만하고 단정한 통일신라시대의 마애불상보다는 둔화되고 형식화된 느낌이 짙지만,
신체표현에는 어느 정도 균형이 잡혀 있으며 얼굴 표정에도 자비로움을 보이고 있다.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 (서울 北漢山 舊基洞 磨崖如來坐像) : 보물 제215호 시대 = 고려
거대한 바위면에 홈을 약간 판 다음 불상을 도드라지게 새겼으며, 머리 위에는 8각의 머리돌을 끼워 넣어 얼굴을 보호하고 있다.
다소 딱딱해 보이지만 강한 의지가 느껴지는 얼굴에는 단정한 미소가 흐르고 있다. 몸은 건장하고 당당하지만 각이지고
평판적인 형태미를 보여주고 있어서 경직된 모습이 나타난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으며,
왼팔에 새겨진 옷주름에서는 기하학적인 추상성이 엿보인다.
손은 왼손을 배부분에 대고 오른손은 무릎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고 있는 모습이고,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에는 화사한 연꽃 무늬가 겹쳐서 새져져 있다. 강한 느낌의 얼굴, 평면적인 신체 등의 전통적인 양식에
다소 추상성을 가미하면서 웅대하게 변모시킨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마애불좌상으로 높이 평가된다.
<문화재청의 글>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단에 놓인 용 촛대↑↑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석등↑↑
서울 북한산 구기동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 보물 제 215호. 시대 : 고려시대
이 불상은 북한산 기슭의 바위에 새겨진 장대한 규모의 고려시대 마애불상이다. 이 불상은 대체로 고려초기인 10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큰 규모와 위엄있는 모습으로 보아 석굴암 본존불상이나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광주 철불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불상얼굴부분의 이목구비가 선명하게 들어나고 몸에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방법(偏袒右肩)으로 가사를 입고 있다.
오른손은 무릎아래로 내렸는데 이와같은 손의 표현을 석가모니부처님이 깨달음을 얻는 순간을 나타내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라고 부른다.
대좌에 새겨진 연꽃잎은 매우 부드러우면서도 화려하여 불상 제작 기술의 우수성을 잘 보여 준다.
불상의 좌우에는 네모난 구멍이 뚫려 있는데 불상을 보호하기 위한 목조가구(木造架構)가 이곳에 세워져 있었을 것이다.
현재 불상 머리 위에 있는 천개석(天蓋石)은 나중에 만들어 얹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불상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마애불상 가운데 제작기법이나 규모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에 오르는중 30계단을 오르면 쌍용교와 연화교가 있다↑↑
여기서부터가 108계단임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오르는 밑에 연화교 다리 아치도 연꽃으로 장식함↑↑
마애여래좌상 (서울 北漢山 舊基洞 磨崖如來坐像) : 보물 제215호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이 계단은 총 138개↑↑
향로각
마애불좌상에서 내려다 본 향로각
향로각 내부
이곳에서 보면 마애불좌상이 한눈에 들어온다 위에 올라가서도 하겠지만 이곳에서도 예불을 한다.
향로각 안에 모셔진 신중단(경면주사로서 글로 신중을 모심)
향로각 옆에있는 석등 뒤에 있는 소나무는 누워있다 예전에 선암사에 갔을때도 이와 비숫한 소나무가 있었다.
대웅전(大雄殿)
대웅이란 큰 영웅으로 석가모니가 큰 힘이 있어서 사마(四魔)를 항복시킨다는 뜻에서 붙여진 부처님의 덕호(德號)에서 유래하였고
대웅(大雄)이라는 말은 『법화경』에서 따온 이름이다.
1977년에 건립하기 시작하여 1980년에 완공하였다. 내부에는 불전 중앙에 목조석가여래좌상을 모시고, 탱화로는 석가모니후불탱화를 비롯해
신중탱, 칠성탱, 독성탱 등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 탱화들은 모두 목각탱으로 1985년과 1986년에 모두 김광한, 김광열 두 형제에 의해 조성되었다.
대웅전 주련
불신보편시방중(佛身普徧十方中) 부처님의 법신은 시방에 두루 하시니
삼세여래일체동(三世如來一體同) 삼세여래도 모두 한결 같으시네.
광대원운항부진(廣大願雲恒不盡) 광대한 서원의 구름 항상 다함이 없으시고
왕양각해묘난궁(汪洋覺海渺難窮) 드넓은 깨달음의 바다는 아득하여 헤아리기 어려워라.
나한 목각탱화 = 1985년과 1986년에 모두 김광한, 김광열 두 형제에 의해 조성되었다.
대웅전 불단(大雄殿 佛壇)
불단에는 대웅인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다. 원만한 상호(相好)에 뚜렷한 삼도(三道)에 육감적인 가슴, 편단우견(便袒右肩)의 옷주름 표현등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시대의 석굴암 불상을 모방하였다.
후불탱으로는 나무를 깍아 만들어 금단청한 목각후불탱이 봉안되어 있는데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이 외에 8대보살, 아난과 가섭존자에게
에워싸여 있는 구도이다. 위에는 부처님의 세계를 더욱 화려하게 장엄하는 닫집으로 극락조와 청정한 연꽃이 장식되어 있다.
신중목각탱화 = 1985년과 1986년에 모두 김광한, 김광열 두 형제에 의해 조성되었다.
칠성목각탱화 = 1985년과 1986년에 모두 김광한, 김광열 두 형제에 의해 조성되었다.
법당에 있는 범종 예불때 쓰는 것임
부도 및 비좌(浮屠 및 碑座)
승가사에서 유일한 부도인 성월당대선사의 부도와 탑비가 있다. 부도는 조선후기의 석종형부도로 탑신에 당호를 새겨 놓았으며,
옆의 비석에는 ‘조선국정헌대부성월당비명병서(朝鮮國正憲大夫城月堂碑銘竝序)’와 ‘가경칠년임술팔월일입(嘉慶七年壬戌八月日立)’이라고 쓰여 있다.
곧 이 부도와 비석의 주인공은 성월스님이고 이것이 세워진 때는 1802년(순조 2) 8월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범종각 범종(梵鐘閣 梵鐘)
범종은 중생들에게 신묘한 소리로 해탈에 이르게 도와주는 불교의식구인데 그 소리로 인하여 중생들은 마음을 경각시켜 공덕을 쌓으며
지옥의 고통에서 허덕이는 중생들을 구제한다고 한다.
물독을 엎어놓은 모양의 종신부에는 명문과 불상이 새겨져 있고 상대(上帶)와 하대(下臺)에는 보상당초문이 화려하게 주조되어 있다.
종신부 꼭지에는 신묘한 소리의 비밀중의 하나인 음통과 용뉴가 장식되어 있다.
범종각 편액(梵鐘閣 扁額)
범종을 봉안하고 있는 전각으로 '동종루(動鐘樓)'라고 부르기도 한다.
밑에서 올려다 본 범종각의 뒷모습임
▶찾아가는 길
지하철 이용 = 5호선 광화문역에서(3호선 경복궁 역에서도 됨)하차 = 교보문고 쪽에서 7018버스 환승 = 하림각 하차하여
7212번 환승 = 승가사 입구하차 하여 조금올라가면 승가사 셔틀버스 운행 평일 1시간정도 간격임
*광화문이나 경복궁역에서 7212번을 타고 바로 승가사 입구에서 하차하여도 됨 그러나 7212번은 경기상고쪽에서 동네로 들어가
한바퀴돌고 하림각으로 내려와서 승가사 입구 쪽으로 감
◈ 승가사입구나 이북5도청에서 내려 걸어서 올라가면 약 40분~1시간정도 걸림 가파름
▶참배를 끝내고 광화문으로 돌아올때 두 종류의 버스가 있다 *번호는 7212번인데 운전석 앞에 써있다 수색쪽으로 가는버스와
옥수동으로 가는 버스가 있으니 옥수동방향을 타야한다
수색쪽으로 가면 불광동쪽으로 가니 광화문과는 정반대로 가게 되는것이다.
10여분 올라오면 된다.
'서울 경기 = 心 마음의 길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가사를 읊은 시 = 호국보탑과 공덕비, 영산전, 적묵당, 사적비, 일주문 (0) | 2013.04.16 |
---|---|
삼각산 중수 승가굴기(三角山重修僧伽?記) - 이예(李預)= 약사전, 승가대사상, 명부전, 산신각, 석조들. (0) | 2013.04.16 |
만월암 = 약사여래의 숨결이 가득한 사찰 만월암(滿月庵) (0) | 2013.03.19 |
안암동 탑골승방의 역사인 보문사 (0) | 2012.10.28 |
동대문 밖 비구니 수행도량 - 보문종의 총본산인 보문사(普門寺) (0) | 201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