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 = 금동 보살 입상(金銅菩薩立像) : 고려(高麗) 14세기
「정덕십년」명 석조 지장보살 좌상(石造 地藏菩薩 坐像) : 조선(朝鮮) 1515년 寶物 제 1327호.
명문내용 = 正德十年乙亥三月造成
바위자리 위에 앉아있는 지장보살상이다. 몸 전체를 금으로 얇게 입혔으나 일부분에는 붉은 칠이 남아 있다.
상체에 비해 결가부좌한 다리가 빈약하게 처리되어 다소 불안정한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이 머리에 두건을 쓰고 가슴에 수평으로 입은 속옷이 보이며 손에 보주를 든 지장보살상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에 제작된
지장보살상에 흔히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 불상의 제작연대는 대좌 뒷면에 음각으로 새겨진 8행 49자의 글귀 가운데 정덕 10년 을해 3월 ″正德十年乙亥三月日″이라는 내용을 통해
1515년임을 알 수 있다.
「정덕십년」명 석조 지장보살 좌상(石造 地藏菩薩 坐像) : 조선(朝鮮) 1515년 寶物 제 1327호.
지장보살은 지옥에서 고통 받고 있는 중생을 위하여 영원히 부처가 되지 않는 보살이다. 다른 보살상과 달리 민머리의 스님 모습이거나 머리에 두건을
쓴 모습으로 표현된다. 대좌 밑에 "정덕[正德]10년 3월에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中宗) 10년(1515年)에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지장보살상과 같이 머리에 두건을 쓴 지장보살상은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에 걸쳐서 많이 만들어졌다.
금동 불 삼존상(金銅 佛 三尊像)
부처 = 금동 불 좌상(金銅 佛 坐像) : 고려(高麗) 14세기
사리함속 여래입상(舍利函 속 如來 立像) : 통일신라(統一新羅) 8세기. 출토지 = 경북 경주(慶北 慶州)
이 부처상은 통일신라 초기의 대표적인 석탑인 타원리 오층 석탑(국보 제 39호)에서 출토 된것이다.
사리함 안에 있던 금동제 구층소탑과 여래입상과 무구정대다라니경과 함께 있던 여래입상 인 것이다.
금동 보살 좌상(金銅 菩薩 坐像) : 고려 후기(高麗 後 期) 일명 = 연꽃봉오리를 쥐고 있는 보살상
두 어깨를 감싸는 통견의 법의를 입고 몸 전체에 화려한 장신구를 한 보살상이다. 둥근 얼굴에 아래로 내려 감은 듯한 눈은 조용히 명상에 잠긴 듯하다.
머리에는 윗부분이 떨어져나간 상투모양의 보계가 남아 있다. 왼손에는 연꽃봉오리가 쥐어있고 오른 손은 가슴 쪽까지 올라와 있다.
금동 보살 좌상(金銅 菩薩 坐像) : 고려 후기(高麗 後 期) 일명 = 명상에 잠긴 듯한 보살상
깊이 명상에 잠긴 듯한 보살상이다. 머리카락을 높이 틀어 올린 상투 모양의 보계는 당시 보살상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배 부근에 노출된 속옷과 때 매듭 , 무릎옆으로 내린 소맷자락의 형태, 왼쪽 무릎을 덮은 나뭇잎꼴 옷자락 등은 같은 시기 여래상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금동 보살 좌상(金銅 菩薩 坐像) : 고려 후기(高麗 後 期). 일명 = 온화한 표정의 보살상(菩薩 像)
생각하고 있는 듯한 온화한 표정의 보살상이다. 머리카락은 상투처럼 높이 틀어올린 후 두귀 옆으로 다시 몇가닥을 드리워 내렸다.
가슴과 배, 다리에는 화려한 장식을 걸쳤으며, 두 손은 각각 염지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굽혀 중생을 구제하려는 염원을 나타냈다.
동으로 주조한 후 표면에 금박을 잘 입히기 위하여 검은색의 칠을 발랐다.
◈보살상◈
보살은 본래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부처가 되기 이전의 단계를 가르킨다. 대승불교에서 보살은 그 수행면에서 부처에 버금가는 최고의 존재로서,
소승불교의 아라한(나한)과 같은 높은 지위에 위치한다. 보살은 아라한과 달리 깨달음에 이룰 수 있는 능력을 가졌지만
이 세상에 머물며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살은 부처와 중생을 연결해주는 중간자적인 존재다. 보살의 종류에는 부처의 본성인 지혜와 실천을 상징하는 문수와 보현이 있는가 하면,
힌두교적인 신격에서 영향을 받은 관음이 있다.
보살의 기본적인 형태는 머리를 묶고 보관(寶冠)을 쓰며 화려한 장신구와 천의(天衣)를 걸친 귀인(貴人)의 모습을 띤다.
아울러 손에는 각각의 보살을 상징하는 지물(持物)을 지니고 있다.
광배 세밀도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七年」 銘 金銅 佛 立像) : 고구려(高句麗) 539년 國寶 제 119호
출토지 = 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宜寧郡) 대의면(大義面) 하촌리(下村里) 산 40
뒷면에 적혀있는 명문내용 ▶ 延嘉七年歲在己未高麗國樂良 東寺主敬第子僧演師徒卌人共 造賢劫千佛流布第卄九因現義 佛比丘法穎所供養
경상남도 의령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존하는 우리나라 불상 중 가장 오래된 제작 연대를 지닌 불상이다.
불상의 광배(光背) 뒷면에는 47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연가(延嘉) 연간의 일곱 번째 해인 기미(己未)년에 고구려의 수도 평양에 있던
동사(東寺)라는 절에서 만들어 유포한 천불(千佛) 중 하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延嘉七年歲在己未高麗國樂良 東寺主敬第子僧演師徒卌人共 造賢劫千佛流布第卄九因現義 佛比丘法穎所供養
뜻 = 연가7년인 기미년(539) 고려국(高麗國: 고구려)의 수도 낙양(樂良: 평양)에 있던 동사(東寺)의 주지스님 경(敬)과 그 제자 승연(僧演)을 비롯한
사도 40인이 함께 현겁천불(賢劫千佛)을 조성하여 유포하기로 하였는데 (이 불상은) 제29불인 인현의불(因現義佛)로 비구 법영(法穎)이 공양합니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흙으로 만든 부처와 보살 = 元五里 寺址 주조불, 1937년 평안남도 원오리 옛 절터의 발굴
◈보살상 들◈
보살은 본래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부처가 되기 이전의 단계를 가르킨다. 대승불교에서 보살은 그 수행면에서 부처에 버금가는 최고의 존재로서,
소승불교의 아라한(나한)과 같은 높은 지위에 위치한다. 보살은 아라한과 달리 깨달음에 이룰 수 있는 능력을 가졌지만
이 세상에 머물며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살은 부처와 중생을 연결해주는 중간자적인 존재다. 보살의 종류에는 부처의 본성인 지혜와 실천을 상징하는 문수와 보현이 있는가 하면,
힌두교적인 신격에서 영향을 받은 관음이 있다.
보살의 기본적인 형태는 머리를 묶고 보관(寶冠)을 쓰며 화려한 장신구와 천의(天衣)를 걸친 귀인(貴人)의 모습을 띤다.
아울러 손에는 각각의 보살을 상징하는 지물(持物)을 지니고 있다.
흙으로 만든 부처와 보살 = 元五里寺址 주조불, 1937년 평안남도 원오리 옛 절터의 발굴
◈보살상◈
보살은 본래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후 부처가 되기 이전의 단계를 가르킨다. 대승불교에서 보살은 그 수행면에서 부처에 버금가는 최고의 존재로서,
소승불교의 아라한(나한)과 같은 높은 지위에 위치한다. 보살은 아라한과 달리 깨달음에 이룰 수 있는 능력을 가졌지만
이 세상에 머물며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살은 부처와 중생을 연결해주는 중간자적인 존재다. 보살의 종류에는 부처의 본성인 지혜와 실천을 상징하는 문수와 보현이 있는가 하면,
힌두교적인 신격에서 영향을 받은 관음이 있다.
보살의 기본적인 형태는 머리를 묶고 보관(寶冠)을 쓰며 화려한 장신구와 천의(天衣)를 걸친 귀인(貴人)의 모습을 띤다.
아울러 손에는 각각의 보살을 상징하는 지물(持物)을 지니고 있다.
금제관식[왕](金製冠飾[王]) : 백제(百濟) 6세기 國寶 제 154호. 일명 = 무령왕 금제관식
출토지 =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금성동(錦城洞) 송산리고분군(宋山里古墳群) 무령왕릉(武寧王陵)
줄기가 길게 연장되면서 마치 불꽃이 타오르는 듯한 모양새를 보여준다. 두 가닥은 아래로 향하게 하여 변화를 주고 있다.
앞면에는 전체에 걸쳐 구슬모양 꾸미개를 금실로 꼬아서 달았다.
화염문관식(火炎紋冠飾)은 공주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무령왕과 무령왕비의 금제관식(王冠장식) 역시 고구려의 화염문관식(火炎紋冠飾)과 같다.
관식의 무늬는 불꽃무늬와 비숫한 인상을 주는 인동초 무늬를 중심으로 좌우에 잎줄기를 배치하였다.
백제의 금제관식은 0.2cm의 금판을 오려서 만든 것인데 투각방법이나 양식에 있어 고구려와 거의 같다.
이는 고구려의 금세공기술이 백제에 전해졌음을 뜻한다. 그리고 이 기술은 백제를 거쳐 신라 금관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무령왕릉은 백제 25대 무령왕(재위 501∼523)과 왕비의 무덤으로 1971년 처음 발굴되었다. 벽돌로 만든 무덤에서는 금제관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무령왕 금제관식은 왕의 머리 부분에서 거의 포개어진 채 발견되었다. 얇은 금판에 인동당초문과 화염문 장식을 투조하였는데 문양의 좌우가 비대칭이다.
줄기와 꽃에 지름이 5mm정도인 둥글고 작은 원판으로된 영락을 달았다.
여기에 작은 구멍을 뚫어 금실로 꿰어 4~6회 꼬아서 메단 영락은 숫자가 모두 127에 달한다.
구당서(舊唐書)에 "(왕은) 검은 천으로 된 관에 금꽃을 장식하고"라는 기록을 근거로 왕이 평소 사용했던
비단모자의 좌우 혹은 전후에 꽂았던 장식품으로 추정된다.
금제관식[왕비](金製冠飾) : 백제(百濟) 6세기 國寶 제 155호. 일명 = 무령왕비 금제관식
출토지 =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금성동(錦城洞) 송산리고분군(宋山里古墳群) 무령왕릉(武寧王陵)
왕비의 관꾸미개는 앏은 금판에 인동딩초무늬(忍冬唐草文)와 불꽃무늬(화염문, 火焰文)를 맞새김하였는데 대칭형의 구도로 되어 있으며
달개는 달려있지 않다.
문헌기록이나 출토 위치 등으로 미루어 검은 비단으로 만든 관모에 꽃았던 장식품으로 파악되고 있다.
무령왕릉은 백제 25대 무령왕(재위 501∼523)과 왕비의 무덤으로 1971년 처음 발굴되었다. 벽돌로 만든 무덤에서는 금제관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무령왕비의 금제관식은 왕비의 머리 부분에서 거의 포개어진 채 발견되었다. 얇은 금판에 인동당초문과 화염문 장식을 투조하였고,
왕의 관식과는 달리 문양이 좌우대칭이며 영락을 달지 않았다.
중앙에는 7개의 연꽃잎이 바닥으로 늘어진 모습을, 그 위에는 막 피어오르는 꽃을 꽂은 꽃병을 투조하고 있어
불교적이 요소가 관식의 제작에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왕비의 머리부근에서는 사각형과 오각형 금판장식이 함께 출토되었는데, 이 판 장식의 테두리에는 작은 구멍이 촘촘히 뚫려 있어 실을 이용,
관테에 장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꽃모양 꾸미개 = 금제 화형 제시(金製 花形 製飾)
금제 이식[왕](金製 耳飾[王]) : 백제(百濟) 6세기 國寶 제 156호. 일명 = 무령왕 금귀걸이
출토지 = 충청남도(忠淸南道)-공주시(公州市) 금성동(錦城洞) 송산리고분군(宋山里古墳群) 무령왕릉(武寧王陵)
무령왕릉은 백제 25대 무령왕(재위 501∼523)과 왕비의 무덤으로 1971년 처음 발굴되었다. 벽돌로 만든 무덤에서는 금제관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왕의 귀걸이는 하나의 중심 고리에 작은 고리 2개를 연결고리로 하여 두 줄의 귀걸이를 매달았다.
큰 귀걸이의 중간 장식은 2개의 원통체를 대칭되게 연결하였고, 원통체의 끝에는 금실과 금 알갱이로 장식한 심엽형 장식이 달려있다.
끝 장식은 큰 심엽형 장식을 중심으로 작은 심엽형 장식 2개를 대칭되게 매달았다.
작은 귀걸이의 중간 장식은 금 알갱이를 붙여 만든 투작구체 5개를 '0-0'모양의 고리로 연결하였다.
끝 장식은 담녹색 곡옥에 누금수법 장식이 가미된 금 모자를 씌운 것으로 금 모자에 좌우대칭으로 2개의 심엽형 장식이 달려 있다.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귀걸이가 경주의 금령총과 일본 구마모토 현의 에다후나야마 고분에서 출토된 바 있다.
신라 금관(新羅 金冠) 國寶 제 191호
신라금관은 관대의 중앙과 그 양 옆에 출(出)자형 입식(立飾)이 있고, 뒷면에는 양쪽에 나뭇가지 모양의 입식(立飾 = 꾸밀 식)이 세워져 있다.
이들 입식(立飾)의 표면에는 달개(瑛珞[영락] : 옥빛 구슬목걸이)와 굽은 옥(곡옥, 曲玉)을 매달아 장식했다.
♣황남대총 북분 출토 : 금관<국보 제 191호> 상세설명♣
신라에서 우월한 통치자가 나타나고 고대국가의 면모가 드러나기 시작하는 때는 4세기 중반 마립간(麻立干)의 등장부터입니다. 마립간시기의 물적 증거는
신라의 고유한 무덤인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돌무지덧널무덤은 나무로 짠 덧널을 돌무지로 감싸고 그 주위로 흙을 높이
쌓아 올린 무덤입니다. 땅 위로 드러난 거대한 봉토를 지닌 이 무덤에는 이승과 저승이 이어져 있다는 관념에 따라 많은 부장품이 넣어졌습니다.
주로 마립간시기에 만들어졌으며, 그 끝은 6세기 중반의 신라 중고기(中古期)까지 이어집니다.
신라의 금관은 마립간시기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등장하고 변화하였습니다.
황남대총은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재의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하였습니다.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것에 속하며, 귀금속 장신구와 희귀한 수입품 그리고 엄청난 양의 철제품과 질그릇이 부장된 점에서
학자들은 이 무덤을 왕릉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왕의 능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으므로,
1976년에 문화재위원회는 이 무덤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큰 무덤’이란 뜻으로 ‘황남대총’이라 이름을 붙였습니다.
황남대총은 남북으로 두 개의 무덤을 잇댄 쌍무덤입니다. 먼저 만든 남쪽 무덤[南墳]은 왕의 능이었고, 북쪽 무덤[北墳]은 약간의 시차를 두고
나중에 잇댄 왕비의 능이었음이 발굴을 통해 밝혀졌습니다.
남쪽과 북쪽의 무덤 모두는 돌무지덧널무덤이란 점에서 같으나, 내부구조에서 남쪽 무덤은 시신을 모신 주곽(主槨)과 더불어 부장품을 가득 채운 부곽(副槨)
을 따로 둔 점에서 차이를 보였습니다. 북쪽이 왕비의 능이었다는 결정적 증거는 은제 허리띠 꾸미개에 ‘夫人帶’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었기 때문인데,
이 ‘부인’이란 표현이 당시에 왕비를 말하는 것입니다. 즉 ‘夫人帶’는 왕비의 허리띠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황남대총 북분에 안장된 왕비는 금관과 금으로 꾸민 허리띠 이외에도 금팔찌, 금반지, 금목걸이, 가슴꾸미개 등으로 치장하였습니다.
비록 비단옷과 장신구에 덧댄 직물이 거의 모두 썩어 없어졌으나, 남아있는 귀한 장신구는 생전에 누렸던 가장 화려한 복장을 입혀 장례가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왕비의 금관은 신라에서 유행한 나뭇가지모양 금관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세 개의 맞가지[對生枝]와 두 개의 엇가지[互生枝]로 조합된
세움장식[立飾]은 좁고 긴 머리띠에 높이 솟아오르도록 부착되었습니다.
맞가지는 정면과 좌우 측면에 세웠고, 엇가지는 뒤쪽으로 비스듬하도록 후면의 좌우측에 붙였습니다.
표면에는 무늬를 새기고 곱은옥과 달개를 촘촘히 매달아 한층 화려하게 꾸몄습니다. 비취라고도 부르는 경옥으로 만든 곱은옥과 금판을 둥글게 오린
달개는 하나하나씩 금실로 매달았습니다.
머리띠 아래에는 굵은 고리에 사슬로 달개를 엮은 금제 드리개를 좌우에 세 개씩 늘어뜨렸습니다. 머리띠는 유기질로 된 끈으로 양끝을 묶었던 듯합니다.
굵은 고리의 금제 드리개는 착용한 사람이 여성이었을 수 있음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대체로 남성의 귀걸이와 드리개는 가는 고리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금관은 신라의 나뭇가지모양 금관에서 맞가지와 엇가지가 조합된 최초의 것입니다.
황남대총에서 가장 의아한 수수께끼는 왕과 왕비가 지녔던 관(冠)을 둘러싼 문제입니다. 일반적인 생각과 전혀 다르게, 왕은 금동관을 지녔고
왕비는 금관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구리판에 도금을 한 금동관과 순수한 금관은 재질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비록 왕의 관은 유일하게 곱은옥을 단 금동관임에도 불구하고, 재질이 금동인 점에서 금관에 비해 결코 우월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왕의 금동관은 세움장식이 세 개의 맞가지 뿐입니다. 이러한 왕과 왕비의 관은 신라의 ‘나뭇가지모양 관’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합니다.
신라의 ‘나뭇가지모양 관’은 세움 장식의 모양에 따라 변화를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머리띠에 세 개의 맞가지만을 세웠습니다.
맞가지의 모양은 자연스런 나뭇가지처럼 가지가 밖으로 벌어진 것에서 점차 직각으로 꺾이는 것으로 변화합니다.
자연의 나무를 형상화한 듯하며, 초기 형태이므로 ‘시원형식(始原型式)’으로 분류하는데, 경주 교동에서 발견된 금관이 대표적입니다.
이 형식의 마지막은 황남대총 남분에서 왕이 착용한 금동관입니다.
세움 장식은 맞가지 뿐이지만, 그 형태가 직각에 가깝게 꺾여 있어 뒤이은 형식과도 이어집니다.
‘나뭇가지모양 관’의 전형은 세 개의 맞가지에 더해 두 개의 엇가지를 조합한 것인데, 가장 다듬어진 형태이므로 ‘표준형식(標準型式)’으로 분류합니다.
새로 조합된 엇가지는 사슴뿔을 본떴다고도 합니다. 엇가지는 뒤늦게 더해졌으므로 이를 굳이 사슴뿔을 형상화했다고 볼 여지가 적습니다.
다만 상징 측면에서 나무와 사슴뿔은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매개라는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이 단계 이후의 맞가지는 한결같이 모두 직각으로 꺾인 형태입니다. 표준형식은 황남대총 북분 금관에서 처음으로 완성되며,
금관총(金冠塚) 및 서봉총(瑞鳳塚)의 금관과 더불어 표준형식이 성립하는 단계에 속합니다.
표준형식 성립단계의 금관은 맞가지의 마디가 3단인 점이 특징입니다. 이후에 만들어진 천마총(天馬塚) 및 금령총(金鈴塚)의 금관은 표준형식 발전단계에
속하며, 맞가지의 마디가 4단인 특징을 지닙니다. 즉 ‘나뭇가지모양 관’의 표준형식은 맞가지의 마디가 3단인 것에서 4단인 것으로 바뀌었고,
전체적으로 점점 빽빽해지고 화려해지는 모습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인 ‘퇴화형식(退化型式)’은 추측하건데 더 이상 금관이 만들어지지 않는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관에 내포된 정치적 권위가 사라진 단계이므로 필요 이상으로 꾸밈이 많아지거나 오히려 급격하게 간단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합니다.
퇴화형식에서도 가장 마지막은 구리판을 적당히 잘라 만든 동관(銅冠)입니다.
동관의 착용자는 함께 부장된 방울 등으로 볼 때 이전 단계의 정치적 권위가 사라진 무당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상은 ‘나뭇가지모양 관’이 지니고 있는 상징성을 짐작할 수 있게 합니다. 신라의 왕과 왕족은 기록에 따르면 한때 제사장이었으며,
마립간시기(麻立干時期)까지 꾸준히 국가의 제의를 주관하였습니다. 황금으로 만든 ‘나뭇가지모양 관’은 신성한 나무를 상징하는 듯합니다.
이는 통치자이자 국가의 제의를 주관하는 신라의 마립간과 그 일족의 성격에 부합하는 도안이라고 해석됩니다.
마립간시기 직후인 중고기의 법흥왕(法興王)은 전통제의의 중심이었던 신궁(神宮)을 대신하여 불교를 공인하였고 더불어 국왕의 세속적 권위를 월등히 강화
시켰습니다. 이로써 신라의 왕에게는 전통제의와 관련된 황금으로 만든 ‘나뭇가지모양 관’이 더 이상 필요 없게 된 듯합니다.
다만 나뭇가지모양 관이 지니고 있던 제의적 상징은 그대로 민간에 전승되어 정치적 권위가 사라진 채 무당의 신물로 남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시원형식. 경주 교동출토 금관, 높이 12.8 cm
2 표준형식. 경주 천마총 출토 금관, 높이 32.5 cm, 국보 188호
3 퇴화형식. 단양 하리 출토 동관, 높이 26.9 cm호
금관<국보 제 191호>와 금제 허리띠<국보 제 192호
옆선
금제 허리때 보물 제 192호
♣황남대총 북분 출토 : 금제 허리띠<국보 제 192호> 상세설명♣
금관과 함께 사용된 신라의 허리띠는 가죽 띠에 황금으로 만든 띠꾸미개[銙板]를 붙이고, 그 아래에 역시 황금으로 만든 여러 형상을 매단 띠드리개[腰佩]를
드리웠습니다. 금제 허리띠꾸미개는 금관과 더불어 왕족만의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적인 장신구로 다루어졌습니다.
띠꾸미개는 네모꼴의 판에 하트 모양의 드림을 달았습니다. 네모꼴 속에는 용봉무늬 또는 세잎무늬를 넣었는데,
이 두 문양은 고구려에서 유행하던 것이 모두 신라에 전해진 것입니다. 신라에서는 세잎무늬가 주류로 정착하여 변화발전을 이루게 됩니다.
띠드리개에는 물고기, 곱은옥, 칼, 집게 등을 매달았습니다.
왕비의 허리띠. 경주 황남대총 북분 출토, 길이 120 cm, 국보 192호
그간 학계에서는 황남대총과 같은 거대한 신라 능묘는 고구려의 영향에서 벗어난 신라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룬 시기에 만들었을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그래서 한일학계에서는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 재위 417~458)의 왕릉이라는 학설이 다수 발표되었습니다. 하지만 신라의 내적 수준을 지나치게 낮추어보는
시각을 비판하고, 중국 동북지방의 4세기대 무덤과의 비교를 통해 황남대총의 부장품은 마립간시기 초기의 양상일 수 있다는 학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 학설은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재위 356~402)의 왕릉으로 보았습니다. 최근에는 고구려의 영향이 아직 상당히 남아 있으며 마립간시기 초기의 시원적
양상에서 벗어난 시기를 배경으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보는 학설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논점은 왕이 금동관을 지닌 점에서 눌지마립간에 의해 왕위를 빼앗긴 실성마립간(實聖麻立干, 재위 402~417)의 왕릉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왕비인 북분의 주인공은 왕인 남분의 주인공을 둘러싼 여러 학설에 따라 각각 다르게 볼 수 있습니다.
왕관
금제 이식(金製耳飾) : 삼국시대(三國時代) 신라(新羅) 일명 = 금 알갱이를 붙여 만든 귀걸이
금제 나비장식 귀이개
부처 = 금동 불 좌상(金銅 佛 坐像) : 明나라(1368年- 1644年)
금동 보살 입상(金銅 菩薩 立像) : 원나라 말 명나라 초(元 末, 明初) 13-14세기
금동 보살 입상(金銅 菩薩 立像) 세밀도
아수라(阿修羅) : 청나라(淸) 1644年 - 1911年
아수라(阿修羅) : 청나라(淸) 1644年 - 1911年 세밀도
부처 = 철조 불 좌상(鐵造 佛 坐像) : 명나라(明) 1368年 - 1644年
'불화이야기=고려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 사라함속 부처, 사리함과 내용물, 공양탑, 칠지도, 무구정광대다라니 (0) | 2014.03.27 |
---|---|
국립중앙박물관 = 이웃나라 불상과 보살들, 부처님의 팔상도, 비슈누, 명상한는 僧像 (0) | 2014.03.27 |
국립중앙박물관 = 반가사유상 83호, 부처, 보살, 호신불, 광배, (0) | 2014.03.27 |
국립중앙박물관 = 불상. 약사여래불. 보살상. 반가사유상 78호, 다양한 반가사유상들. 경패. 청동거울(경상) (0) | 2014.03.24 |
국립중앙박물관 = 또 다른 이야기 도자기 (0) | 201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