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 특별 태마전 : 무량수불(無量壽佛) 극락(極樂)에서 만나다. 고사인물도, 장안사(이북) 어화, 원록도, 지옥사자도 4점, 영산회상도, 신중도, 지장시왕도, 지장삼존도, 감로도 2점, 사직사자도, 팔금강도 아미타 삼존도, 흥국사괘불(오늘에 테마), 반야용선도, 흥선대원군초상화, 목은 이색초상화, 민간신앙도, 송시열초상화, 윤집초상화, 강민첨초상화,..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5.08
국립중앙박물관 = 불화와 벽화. 태조이성계어진, 영조임금, 허목, 정몽주, 선죽교, 이제현, 박문수, 도선국사, 십육나한 중 다섯 나한(十六羅漢圖) : 조선 19세기 후반 십육나한(十六羅漢)이란 부처가 열반에 든 뒤 미륵불이 나타날 때까지 열반에 들지 않고 이 세상에 머물러 불법을 수호하도록 부처에게 위임을 받은 제자들이다. 최고의 수행자이면서 동시에 깨달음을 얻은 자유로운 존재인 나한들..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4.01
국립중앙박물관 = 이웃나라 도자기와 불화 야외 의식용 불화 = 부석사 괘불(浮石寺 掛佛) : 조선(朝鮮) 1684년, 비단의 색 <위에서 아래로 찍은 것> 1684년 부석사에서 제작한 야외 의식용 불화인 괘불(掛佛)이다. 대웅전 앞마당 등 야외에서 개최하는 대규모 불교 의식에서는 참여자들이 모두 볼 수 있도록 이처럼 큰 불화를 걸었..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9
국립중앙박물관 = 범종들의 이야기 황해도 평산 출토(黃海道 平山 出土) 황해도 평산 출토(黃海道 平山 出土) 용뉴의 세밀도 쇠북(金鼓, 금고) 쇠북은 청동으로 만든 북으로 금구(禁口) 또는 반자(飯子, 盤子, 半子)라고도 한다. 사찰에서 공양 시간을 알리거나 사람들으 모을 때 사용한다. 북의 옆면이나 뒷면에는 북의 제작 ..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9
국립중앙박물관 = 사라함속 부처, 사리함과 내용물, 공양탑, 칠지도, 무구정광대다라니 사리함(舍利函) 안에 넣었던 금동 불 입상(金銅佛立像) 사리함(舍利函) 안에 넣었던 금동 불 입상(金銅佛立像) 사리함(舍利函) 안에 넣었던 금동 불 입상(金銅佛立像) 나원리 오층석탑 사리갖춤(羅原里 五層石塔 舍利 具) : 통일신라(統一新羅) 8세기 출토지 = 경북 경주(慶北 慶州) 이 사리..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7
국립중앙박물관 = 이웃나라 불상과 보살들, 부처님의 팔상도, 비슈누, 명상한는 僧像 간다라 간다라 지역은 오늘날 아프카니스탄 지역을 일컫는 말로 중동, 인도, 중앙아시아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문화가 이 지역에 도입되었다. 얼마전 인류문화유산이 파괴되었고, 미국과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는 이슬람 원리주의자드인 텔레반이 지금 근거지로..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7
국립중앙박물관 = 부처, 보살, 왕관, 귀금속, 지장보살, 광배와 이웃나라 부처들 등 보살 = 금동 보살 입상(金銅菩薩立像) : 고려(高麗) 14세기 「정덕십년」명 석조 지장보살 좌상(石造 地藏菩薩 坐像) : 조선(朝鮮) 1515년 寶物 제 1327호. 명문내용 = 正德十年乙亥三月造成 바위자리 위에 앉아있는 지장보살상이다. 몸 전체를 금으로 얇게 입혔으나 일부분에는 붉은 칠이 남..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7
국립중앙박물관 = 반가사유상 83호, 부처, 보살, 호신불, 광배, 금동 불 입상(金銅 佛 立像) : 통일신라(통일신라) 8세기 일명 = 부처 금동 불 입상(金銅 佛 立像) 상단부분 세밀도 어린아이와 같은 천진한 미소를 띠고 있어 친근감을 준다. 금동 불 입상(金銅 佛 立像) : 삼국시대(三國時代) 신라(新羅) 7세기 전반 일명 = 부처 편단우견(偏袒右肩, 오른쪽 ..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7
국립중앙박물관 = 불상. 약사여래불. 보살상. 반가사유상 78호, 다양한 반가사유상들. 경패. 청동거울(경상) 금동 관음보살 좌상(金銅觀音菩薩坐像) : 고려(高麗) 14세기 갸름한 얼굴에 화려한 장식으로 뒤덮인 신체 등에서 라마 불상 양식의 영향이 엿보인다. 가부좌한 자세에서 오른쪽 무릎을 세우고 그 위헤 오른팔을 자연스럽게 올려놓은 뒤 왼손으로 바닥을 짚는 윤왕좌(輪王坐)의 앉음새를 ..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4
국립중앙박물관 = 또 다른 이야기 도자기 글씨 써 있는 청자 청자 철채 퇴화삼엽문 매병(靑磁 鐵彩 堆花蔘葉文 梅甁) : 고려(高麗) 12세기 寶物 제 340호 일명= 인삼잎무늬 매병 청자 태토로 매병 형태를 만든 후 철화[鐵畫] 안료를 칠하고, 다시 몸체 양면에 잎 무늬 부분만을 얇게 파낸 뒤 그 위에 백토[白土]를 바르고 청자유약.. 불화이야기=고려외 201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