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금마면 미륵산 사자암(사자사지) ◆서동과 선화공주 설화의 근거지 사자사 백제의 고찰인 사자사는 미륵산 정상부 능선자락에서 탁 트인 앞을 내다보는 천혜의 절경에 자리잡고 있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익산 미륵사지’로 유명한 미륵사가 이곳 미륵산 기슭에 창건되기 이전부터 사자사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4.02.21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남원사와 이리초교, 이리여고의 오층석탑, 쌍릉(무왕과 선화공주) 논두렁 사이에 연꽃밭과 함께 아담하게 위치한 도량, 익산 독자천 옆 남원사 통일신라시대인 831년(흥덕왕 6년)에 진감국사 혜소 스님이 법당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 한다. 그 후의 연혁은 자세히 전하는 것이 없다.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폐사가 되었는데, 1591년(선조 24)에 남원부사 ..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4.02.21
장성 백양사(白羊寺) = 4 장성 백양사(白羊寺) ♠절 이름의 변화와 관련된 이야기♠ 사찰명이 백양사로 정착되는 계기는 환양 팔원(喚羊八元) 스님에 의해 마련되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환양 스님이 약사암(藥師庵)에 주석하며 송경(誦經)으로 일과를 삼던 어느 날, 백학봉에서 흰 양 한 마리가 내려와 스님이 법화..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1.03
장성 백암산 백양사(白巖山 白羊寺) = 3 백양사(白羊寺) 백양사의 자연에는 백제 무왕에 절을 창건한 여환스님을 비롯 고려 때 각진스님, 조선시대엔 소요스님, 연담스님, 도암스님, 환응스님, 근 현세엔 백파 학명스님, 용성스님, 석전스님, 만암스님, 서옹스님 등 선지식의 화신이 서려있습니다. 그 자연 속에 녹여져 있는 법신..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1.02
조선팔경 국립공원 백암산 백양사 = 2 장성 조선팔경 국립공원 백암산 백양사(白羊寺) 백양사는 백제 무왕 33년(632)에 신라 고승 여환(如幻) 선사가 범궁(梵宮)을 개창하고 고려 덕종 3년(1034) 갑술에 중연선사가 정토법문을 선양하기 위해 정토사로 이름을 고쳤으며, 고려 충정왕 2년(1350) 경인에 왕사 각엄존자(覺儼尊者)가 오래..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1.02
장성 백양사 = 단풍속에 물들어 있는 고불과 함께하는 백양사 단풍속에 물들어 있는 고불과 함께하는 백양사 유구한 역사와 주변의 빼어난 경관으로 이름 높은 백양사이지만 정작 그 창건과 연혁에 대한 내용은 자세히 전하는 바가 없다. 우리나라 대부분 사찰들이 그러하듯 백양사 역시 창건과 연혁을 전하는 자료가 충분하게 전하지 않고 있기 때..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1.02
정읍 내장사 = 연꽃처럼 벌어진 내장산 품안에 깃든 내장사 관음전(觀音殿) 관세음보살을 보존으로 하는 전각이다 이 전각에는 천수천안관세음보살상을 모시는 곳이지만 지금은 다른곳에 모셔져 있다. 천수천안 관세음보살(天手天眼觀世音菩薩) 신중단 내장산 소장 조선동종(內藏寺 所藏 朝鮮銅鐘)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 49호 청동으로 만든 ..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1.02
정읍 내장사(內藏寺) 전라북도 기념물 제 63호 = 1 정읍 내장사(內藏寺) 전라북도 기념물 제 63호 연꽃처럼 벌어진 내장산 품안에 깃든 내장사 내장사(內藏寺)는 전북 정읍시 내장동의 "호남의 소금강"으로 불리는 내장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내장사(內藏寺)는 백제(百濟) 무왕(武王) 37년(636년) 영은조사(靈隱祖師)가 50여동의 대가람(大..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1.01
곡성 태안사(泰安寺) 하심이 무엇인지 몸소 배울 수 있어요 = 3 곡성 동리산 태안사(谷城 桐裏山 泰安寺) 동리산문= 일주문 태안사 가는 길 반야교 너무 예쁜 길 아쉬운건 너무 빨리왔다는것이 조금 아쉬울 뿐 단풍이들면....! 해탈교 능파각(凌波閣) 능파각은 태안사 사찰 본 영역을 진입하기 이전의 다리 역할을 하는 하나의 누각식 교량이다. 능파각이..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0.30
곡성 태안사(泰安寺) = 2 태안사는 통일신라말기 9산선문의 하나로 신라 경덕왕 원년(742년) 세 스님에 의해서 절이 개창되었다. 적인선사(寂忍禪師) 혜철(慧徹), 광자대사(廣慈大師), 윤다(允多)때 대사찰로 발전하였다. 풍수지리사상의 원조인 도선국사도 태안사에서 혜철스님헤게서 배웠다. 신라시대에는 대안.. 전라남북도 = 心 산사 길없는길 2013.10.30